MB정책에 갈가리 찢긴 영남

2011.04.01 21:22

마창진 통합·식수원 갈등에 신공항 백지화로 신뢰 ‘바닥’

여권 ‘텃밭 잃을까’ 전전긍긍

“청와대와 정부가 아주 잘 못했다. 내년 총선과 대선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안홍준 한나라당 경남도당 위원장)

동남권 신공항 건설이 백지화되면서 한나라당 텃밭으로 통하는 영남권 분위기가 심상찮다. 경남·부산·대구·경북·울산 등 영남권 민심이 사분오열되면서 이명박 정부에 대한 신뢰도 바닥으로 추락했다. 현 정부 출범 이후 창원·마산·진해 행정구역 ‘반강제’ 통합, 4대강 사업에 따른 경남·부산 낙동강 식수원 갈등,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등 지역갈등 요인이 끊임없이 제기됐다.

◇ 마·창·진 통합 후유증 = 이명박 정부는 16개 시·도를 폐지하고, 230여개 기초자치단체를 70여개로 광역화하는 행정체제 개편을 추진했다. 그 전 단계로 2009년부터 행정구역 자율통합을 시도했다. 경기도 ‘성남·광주·하남시’ ‘안양·군포·의왕·과천’ ‘창원·마산·진해시’ 3개 권역의 통합을 추진했으나 전국에서 유일하게 지난해 7월1일 통합 창원시가 출범했다.

경남 밀양지역 한나라당 조해진 의원(가운데)과 당 소속 시·도의원들이 1일 밀양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신공항을 포기하는 것은 영남의 발전과 지방의 도약을 포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신공항 건설을 절대 포기할 수 없다”고 선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

경남 밀양지역 한나라당 조해진 의원(가운데)과 당 소속 시·도의원들이 1일 밀양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신공항을 포기하는 것은 영남의 발전과 지방의 도약을 포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신공항 건설을 절대 포기할 수 없다”고 선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

하지만 시민사회단체는 주민투표를 거치지 않은 졸속통합이라고 무효를 주장했고, 행·재정적 지원을 위한 정부의 시행령 제정은 늦어지고 있다. 새 청사 위치와 프로야구 9구단 새 야구장 위치를 놓고 ‘삼분오열’했고, 고향을 잃어버린 사람들의 상대적 박탈감은 커졌다.

송순호 민주노동당 창원시의원은 “모든 행정이 옛 창원시 중심이다 보니 다른 지역주민들이 불편해 하거나 상대적 박탈감을 갖고 있다”며 “아직 풀어야 할 과제는 많다”고 말했다.

◇ 물 전쟁 = 또 이명박 정부는 낙동강 상수원 대신 경남 진주의 남강댐 증설을 통한 대체식수원을 마련, 부산지역에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하지만 남강댐 인근 주민들은 댐을 증설하면 “물폭탄을 이고 사는 격”이라며 반발해왔다.

최근 경남도가 낙동강·남강 물을 인공습지로 거른 우정수(友情水) 공급을 부산에 제안했다. 하지만 부산지역 전문가ㅋ들은 미온적 태도다. 박창근 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경남·부산 물 문제는 정부와 한국수자원이 부추긴 것”이라며 “두 지역이 공동연구를 통해 대응논리를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 신공항 백지화 = 이런 상황에서 이어진 지난 30일 정부의 동남권 신공항 건설 백지화 발표는 이런 민심에 불을 지른 격이다. 동남권 신공항 건설 또한 MB의 대선 공약이다. 영남권 주민과 여권은 “국민을 상대로 한 사기극”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경남 김해을 보궐선거를 시작으로 내년 총선·대선까지 타격을 입을까 걱정하고 있다. 안홍준 한나라당 경남도당위원장은 “자칫 총선·대선 때까지 영남민심이 흉흉해질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장익근 범시민밀양신공항유치추진위원회 공동대표는 “정부가 신뢰를 잃었기 때문에 영남 사람들이 내년 총선은 물론 대선까지 벼르고 있다”고 경고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