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준 “박근혜 발언 부적절”… 여 ‘복지 논쟁’ 확산

2011.09.01 18:27 입력 2011.09.02 03:05 수정

한나라당이 복지논쟁 속으로 다시 빠져들고 있다.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가 무산된 뒤 박근혜 전 대표(59)가 ‘복지 당론’을 정해야 한다고 공개 주문한 것이 전환점이다. 복지 확대를 요구하는 소장파와 친박계가 논쟁을 주도하면서 당내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남경필 최고위원(46)은 1일 KBS 라디오에 나와 “복지 포퓰리즘과의 전쟁을 하자라는 식의 당 노선을 가지고는 이번 (서울시장) 선거뿐 아니라 대선·총선에서도 미래가 없다”면서 “재정여건이 허락하는 한도 내에서 무상급식을 향해 한발 한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황우여 원내대표(64)도 복지 당론을 만들자는 데 적극적이다. 당내 초선 개혁파 모임인 민본 21은 조찬 모임을 열고 “보편복지 선별복지 프레임에 빠질 게 아니라 생애주기형 복지정책을 세우고, 비정규직 대책, 청년 창업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날 충남 천안에서 열린 의원연찬회에서도 복지 확대 요구가 이어졌다. 친박계인 이학재 의원은 “우리 경제 규모 속에서 국민들의 복지 충족도는 굉장히 낮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가 가야 할 길은 또 멀다”면서 “재정건전성을 해치지 않고 지속 가능하게 가면서도 어떻게 도달할 것인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홍정욱 의원(41)도 “보편적 복지 틀 안에서 무게중심을 어디로 어떻게 둘지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친이계 손숙미 의원(57)은 “보육 분야에서는 보편적 복지를 섞을 수도 있지 않은가”라고 말했다.

그러나 홍준표 대표는 무상급식을 반대하며 선별적 복지에 무게를 싣고 있다.

정몽준 전 대표(60)는 전날 ‘선 복지 당론, 후 서울시장 선거 지원 논의’ 발언을 한 박 전 대표에 대해 “후보 선정의 가이드라인 제시가 돼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가 “(서울시 주민투표가) 시장직까지 걸 문제는 아니었다”고 언급한 데 대해서도 “부적절하다”면서 “한나라당이 다 잘못했다는 식의 발언은 투표에 참여한 215만명의 자존심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친이계인 권택기 의원(47)은 “복지를 보편적으로 할지 선별적으로 할지 굉장히 중요한 논쟁인데 어제 박 전 대표 한마디로 정리가 됐다”면서 불만을 표출했다.

박 전 대표가 요구한 복지 당론이 서울시장 선거 지원 문제와도 맞물리면서 여권 내 방향 논쟁이 증폭되는 상황이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