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회초리 들고 복귀… MB와 차별화 가속 전망

2011.12.09 21:45
이지선 기자

‘정풍’으로 여권 위기 수습 나설 듯… 계파 조율 숙제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59)의 당 전면 복귀가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 2006년 6월 당대표로 임기를 마친 뒤 5년6개월 만이다. 현재 여당은 10·26 재·보선 패배 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 파문이 겹친 최악의 상황이다.

박 전 대표로선 쇄신파의 탈당 등 내부 동요가 커지는 것을 막고 쇄신 방향을 잡는 데 뒷짐만 질 수 없는 상황이 됐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여권은 사실상 ‘박의 시대’로 접어들었고, 박 전 대표가 ‘한나라당판 정풍운동’을 이끌 가능성이 커졌다.

박근혜, 회초리 들고 복귀… MB와 차별화 가속 전망

박 전 대표는 7일과 8일 쇄신파 의원, 친박 의원, 중진들에게 직간접적으로 ‘현재 체제로는 힘들다’는 뜻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준표 대표(57) 체제가 당 쇄신작업과 공정한 공천을 이끌어주길 바랐던 큰 그림은 ‘당의 와해 위기’ 앞에 무너졌다. 한 친박계 의원은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후부터 박 전 대표가 당의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은 있었던 것 같다”며 “현 상황이 한가한 시점이 전혀 아니란 것을 알기 때문에 움직일 시점을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친박계 의원은 “이대로 계속 간다면 박 전 대표도 당의 위기를 ‘방조’ 내지는 ‘묵인’한 책임을 지게 될 것”이라며 “따라서 박 전 대표가 직접 움직여야겠다는 판단을 한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재 쇄신파와 친박계 일부에서는 박 전 대표가 비상대책위원장을 맡는 시나리오가 가장 현실성 있게 거론된다. 남경필 의원은 MBC라디오에 출연해 “일단 비대위를 구성하고 박 전 대표가 위원장을 맡는 것이 가장 정도라고 본다”고 말했다. 비대위에서 총선 선거대책위원회가 구성되면 선대위원장을 맡을 가능성도 열려 있다. 어떤 역할을 맡든 총선은 박 전 대표의 책임과 권한 아래 치러지게 될 가능성이 높다. 사실상 대선도 조기에 정면승부에 나서는 것이다.

박 전 대표가 당 쇄신의 전면에 나선다는 것은 이명박 정권과의 차별화가 본격화된다는 의미와도 맞닿아 있다. 특히 박 전 대표는 당명 교체도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부정적이었으나, 여권의 위기상황을 거치면서 필요하면 수용할 수 있다는 쪽으로 입장을 바꾼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난관도 만만치 않다. 만약 박 전 대표가 비대위원장 등을 맡는다면 손에 흙을 묻힐 수밖에 없다. 친박계 관계자는 “비대위원장은 정책뿐 아니라 인적 쇄신도 이끌어야 하는 ‘장례위원장’인데 박 전 대표가 맡을 수 있겠느냐”고 했다.

박근혜, 회초리 들고 복귀… MB와 차별화 가속 전망

얽히고설킨 계파 간 이해관계도 조율해야 한다. 박 전 대표 측 관계자는 “다른 대선주자들의 이해관계, 계파의 이해관계가 엄연히 존재하는데 비대위 구성단계에서부터 공천을 두고 지분 싸움을 하는 모습은 좋지 않다”고 했다. 최대한 합의하는 모습을 보이겠다는 뜻이다.

박 전 대표가 당장 초스피드로 움직이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은 그래서 나온다. 박 전 대표는 일단 쇄신파를 등에 업고 당에 회초리를 드는 모습부터 보이기 시작할 가능성이 높다. 정책과 인물, 당의 기조 등을 변화시키는 내부 정풍운동을 주도할 것이라는 얘기다. 부자당, 웰빙당 이미지를 벗기 위해 부자증세를 강력히 추진하거나 교육·복지 등 그동안 관심을 쏟았던 ‘박근혜식 정책’으로 등 돌린 국민에게 다가서는 방안을 추진할 수 있다. 공천에서도 계파를 뛰어넘어 공정함을 유지하고 새로운 인물을 들이는 방법이 거론된다. 한 친박계 의원은 “정치는 통합, 정책은 포용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