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청 더 악화, 이미지 구긴 박 대통령… 악수(惡手)가 된 승부수

2015.07.01 06:00

‘유승민 블랙홀’에 국정 현안은 묻히고 당내 반감만 키워

‘당을 거수기로 아나’ 여론 비판적… 결국 청이 지는 싸움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법 개정안 정국을 돌파하기 위해 던진 ‘승부수’가 악수(惡手)로 결론 나는 분위기다. 박 대통령이 집권 3년차 당·청관계 고삐를 죄기 위해 국회법 개정안을 거부하고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를 찍어내려 한 것이 각종 부작용을 낳고 있기 때문이다.

국정 현안은 뒷전에 밀리고, 당·청관계는 오히려 악화되는 등 국정동력만 약화되고 있다. ‘병상 메시지’ ‘방미 연기’ 등 정치적 고비마다 효과를 봤던 박 대통령의 ‘승부수 정치’가 이번엔 정반대 결과를 낳고 있는 셈이다.

‘유승민 블랙홀’은 정국을 집어삼켰다. 유 원내대표 사퇴 여부가 초점으로 부각되면서 국정 과제들이 가려진 것이다. 박 대통령이 지난 29일 ‘국정 속도전’을 주문하고, 핵심정책과제 점검회의를 열어 국정과제 현황을 살폈지만 잘 조명되지 않은 것이 단적인 예다. 유 원내대표 거취 고민이 길어지고, 일부 친박세력의 밀어내기 작업이 필사적이 되면서 권력다툼에만 집착하는 집권세력의 민낯도 드러났다. 당·청이 집안싸움에 골몰하면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를 방치한다는 비판도 따라나온다.

또 ‘당을 다잡겠다’는 청와대 의도와 달리 당·청관계 틈은 벌어지고 있다. 일부 친박들을 제외하면 당내에선 박 대통령에 대한 반감이 광범위하게 번진 상태다. 대다수 의원과 당직자들은 “당이 청와대 출장소냐” “당·청이 갈라지면 공멸하니까 지금은 참지만 두고 보자”는 등 사석에서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새누리당 한 핵심 관계자는 “(박 대통령을 찍었던) 손가락을 자르고 싶은 심정”이라고까지 했다. 현 상태에선 유 원내대표가 물러나도 친박 원내대표가 당선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자칫 청와대가 원하는 ‘국정을 뒷받침하는’ 원내지도부는커녕 ‘할 말을 하겠다’는 ‘더 센’ 비주류 원내지도부가 들어설 수 있는 상황인 셈이다.

박 대통령의 ‘구시대적 이미지’도 공고화됐다. 여야 합의 법안을 폐기하고 집권당 원내대표를 뜻대로 바꿀 수 있다는 생각을 드러내면서, 삼권분립·의회민주주의를 무시하고 여당을 거수기로 여긴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과거 박정희 전 대통령의 권위주의 통치 스타일을 연상시킨다는 따가운 여론도 형성되는 상황이다.

또 청와대의 유승민 찍어내기가 궁극적으론 내년 4월 총선 공천을 겨냥한 것이라는 의구심이 제기되는 것도 민심을 악화시키고 있다. 청와대가 친박 지도부를 통해 공천에 개입하기 위해 비주류 지도부를 밀어내려 한다는 것인데, 이 말대로라면 청와대가 정치적 욕심으로 평지풍파를 일으킨 것이 된다.

박 대통령 지지율도 하락세다.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서치뷰가 지난 27~28일 실시한 정례조사에서 박 대통령 직무수행 부정평가는 64.1%로 긍정평가(30.2%)의 2배를 넘었다. 리얼미터가 지난 29일 발표한 조사에서도 박 대통령 지지율은 전주보다 1.3%포인트 떨어진 33.6%로 나타났다. 그러다 보니 여권에선 “유 원내대표가 물러나도 청와대가 얻을 것은 별로 없다” “청와대가 이겨도 이긴 것이 아니다” 등의 말이 나온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