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에 대한 입장, 두 후보에 물을 것…이재명 ‘정면돌파’

2017.03.01 22:02 입력 2017.03.01 22:43 수정

이재명 성남시장이 1일 광주 무등산 ‘노무현길’ 탐방을 시작하면서 한 지지자가 내민 책에 사인을 해주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성남시장이 1일 광주 무등산 ‘노무현길’ 탐방을 시작하면서 한 지지자가 내민 책에 사인을 해주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 대선주자들 경선 토론 전략·쟁점

· 19대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더불어민주당 경선이 3일 합동토론회와 함께 공식적으로 시작된다.

· 문재인·안희정·이재명 3명의 주자들은 저마다 첫 합동토론회에서 기선을 잡겠다며 벼르고 있다. 주자별 토론 전략과 쟁점을 짚어봤다.


이재명 성남시장(53)은 ‘정면돌파’ 전략이다. 선명한 개혁성과 정책 역량을 내세워 강점을 최대한 부각한다는 계획이다. 토론회를 통해 ‘개혁 적임자’ 이미지를 굳히려는 것이다. 그는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선고 전 합동토론회 최소 2회 개최를 주장하고 문재인 전 대표에게 “제발 토론 좀 하자”고 요구할 만큼 토론회를 기다려왔다.

토론 준비팀은 단출하다. 실무팀을 두고 사안별로 전문가들이 결합하는 형태다. 이 시장의 정치 철학과 정책 이해도가 토론 경쟁력이라는 자신감이다. 이 시장 측 정성호 의원은 “인적 자원이 많은 문 전 대표 측에는 방송 전문가 신경민 의원도 있고 토론 전문가도 있다. 우리는 의원 몇 명과 보좌진이 예상 질의를 준비하는 수준이다. 그렇지만 토론이 말재주가 아니라 후보의 철학과 정책 이해도로 승부를 보는 만큼 자신 있다”고 했다.

토론에서 경쟁 후보들에게 ‘재벌개혁’ ‘자주적 균형외교’ ‘복지와 성장의 선순환’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물을 계획이다. 이 시장 측은 “노무현 정부의 타협적 개혁으로 오히려 재벌체제가 공고해졌고 양극화가 심화됐다. 입장을 분명히 하지 않으면 참여정부 시즌2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한 측근은 “두 후보 측에 삼성 관련자들이 포진해 있다. 삼성에 대한 입장을 물을 계획”이라고 전했다.

약점으로 지적받는 ‘불안감’ ‘포퓰리즘’ 논란에는 성남시장 재임 시 ‘96% 공약이행률’을 강조할 계획이다. 호불호가 갈리지만 이 시장 캠프는 특유의 ‘사이다’ 화법도 경쟁력으로 본다. 이 시장 측은 “토론 무대가 유권자들에게 보내는 메시지인 만큼 대중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정치인의 기본 소양”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