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연정 논리 설득, 문·이 공격은 지양…안희정 ‘소신과 원칙’

2017.03.01 22:02 입력 2017.03.01 22:43 수정

안희정 충남지사가 1일 충남 천안시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3·1절 기념식이 끝난 뒤 어린이와 함께 사진을 찍고 있다. 연합뉴스

안희정 충남지사가 1일 충남 천안시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3·1절 기념식이 끝난 뒤 어린이와 함께 사진을 찍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 대선주자들 경선 토론 전략·쟁점

· 19대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더불어민주당 경선이 3일 합동토론회와 함께 공식적으로 시작된다.

· 문재인·안희정·이재명 3명의 주자들은 저마다 첫 합동토론회에서 기선을 잡겠다며 벼르고 있다. 주자별 토론 전략과 쟁점을 짚어봤다.


안희정 충남지사(52)의 첫 토론 기조는 ‘안정적 국정수습’과 ‘통합’이다. 상대 후보를 공격해 비교 우위를 찾기보다 원칙과 소신, 정책 비전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캠프 토론 준비팀은 1일 충남 홍성에서 안 지사와 함께 전략회의를 열고 첫 토론회를 준비했다. 토론의 큰 원칙으로 ‘안희정’의 이야기를 전하는 데 집중하고, 경쟁 후보에 대한 공격은 지양하는 것으로 정했다. 정치관이나 현안에 논리적이고 차별화된 시각으로 접근해 심도 있는 토론을 이끌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 후 국민 안정과 화합, 통합이 차기 정부의 주요 과제가 될 것이라고 보고 첫 토론회부터 이 같은 기조를 강조해야 한다는 논의가 오갔다.

협치 방안으로 제안한 ‘대연정’에 대해서도 논리적으로 다룰 계획이다. 대연정 제안을 비판하며 ‘적폐 청산’을 강조한 문재인 전 대표나 이재명 성남시장에게 ‘적폐 청산 이후’를 묻겠다는 것이다. 한 관계자는 “탄핵 후 극심한 여야 대립 상황에서 연정을 하지 않고 촛불민심이 바라는 개혁 과제들을 어떻게 처리할 수 있는지, 구체적 대안이 있는지 논리적으로 짚어볼 것”이라고 말했다.

구체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는 정책 분야에선 ‘보여주기식 숫자를 제시하지 않는다’는 원칙은 유지하되 정책 실현 방법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충남도정 7년 경험에서 나온 사례를 토대로 돌파하겠다는 것이다. 어렵고 추상적이라고 지적받는 화법도 보완책을 찾고 있다. 안 지사는 회의에서 “어려운 주제를 쉽게 전달할 수 있는 각종 사례나 통계를 잘 준비해달라”고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토론준비팀은 모두 10여명으로 캠프 정책·메시지팀, 자문그룹이 결합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