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향우’ 강화한 윤석열 “주52시간제, 서울중앙지검 직원들도 반대해”

2022.01.10 16:28 입력 2022.01.10 17:03 수정

“검찰 근무 당시 불편 느낀 사람 많아”

 공무원은 주 52시간제 적용 안 받아

 선대위 “별정직이나 지인 얘기 들은 것”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0일 오전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센트럴파크 호텔에서 열린 인천시 선거대책위원회 출범식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단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0일 오전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센트럴파크 호텔에서 열린 인천시 선거대책위원회 출범식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단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0일 “주 52시간 했을 때 저는 중앙지검장이었는데, 중앙지검 직원들 중에서도 불편을 느끼고 반대한 사람들이 많았다. 소득이 줄어드니까”라고 말했다. 윤 후보는 주 52시간제의 부작용을 지적하고 재검토 의사를 재차 밝혔다. “공산 침략” “인천상륙작전”처럼 이념 갈등을 전제로 한 발언도 이어갔다. ‘우클릭’을 한층 강화한 행보로 풀이된다.

윤 후보는 이날 인천 남동구 남동공단을 찾아 “노사 간 합의에 의해 당국의 승인이나 신고 없이 집중적으로 일해야 할 때는 근로시간 늘리고 그렇지 않을 때는 줄여서 연평균 주 52시간을 맞추게 해달라는 요구들이 많다”며 이같이 밝혔다.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주 52시간제에 대한 비판 여론이 일고 있는 가운데 검찰 근무 당시 경험담을 소개한 것이다. 공무원은 근로기준법이 아닌 공무원법의 적용을 받아 주 52시간 제도의 적용을 받진 않는다. 이양수 선거대책본부 수석대변인은 “후보가 검찰 공무원으로부터 52시간 적용으로 힘들어한다는 지인 얘기를 전해들은 것도 있고, 검찰 내 별정직·계약직 등 공무원법 적용을 받지 않는 이들의 사정을 듣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윤 후보는 주 52시간제 부작용이 나타나는 원인을 대기업 중심의 노동조합에서 찾았다. 그는 “현실적으로 문제가 일어나는 곳들은 대부분 중소기업인데, 민주노총이 지배하고 있는 대기업 노조들의 영향 하에서 (주 52시간 제도 적용이) 이뤄지다 보니까 중소기업은 노사 간에 받아들일 수 없게 만들어진 상태”라면서 “근로시간 문제는 다시 국민적 합의를 도출해서 근로시간을 유연화하고 충분한 보상을 해주는 방안을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이날 “(인천은) 공산 침략으로부터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한 곳”이라며 강경 기조의 발언도 내놨다. 그는 이날 인천 연수구 송도센트럴파크호텔에서 열린 인천시 선거대책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해 “문재인 정권과 집권여당이 우리 사회를 얼마나 분열시켰고 우리 국민의 삶을 얼마나 힘들게 했냐”며 “대선에서 반드시 승리해 이 정권을 심판하고 5년 간 망가진 이 나라를 만드시 정상화시켜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국전쟁 당시에 적의 허를 찔러 판세를 일거에 역전시킨 인천상륙작전처럼 이 나라를 구할 역전 드라마의 대장정이 인천에서 시작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했다. 최근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시작해 정치권으로 확산한 ‘멸공(滅共)’ 발언에 대해서는 “표현의 자유로서 보장하는 것(사안)”이라고 밝혔다.

윤 후보는 이념 공세의 한켠에서 생활 밀착형 공약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윤 후보는 이날 시외·고속·광역버스를 장애인 저상버스나 리프트 장착 버스로 보급한다는 공약을 내놨다. 개인 용도로 억대 수입차를 구입한 뒤 법인차로 사용해 탈세하는 행태를 막고자 법인 차량 번호판은 일반 차량과 다른 색상을 넣도록 한다는 정책도 발표했다. 쇼츠 영상으로 제작된 이들 공약은 ‘59초 공약’ 시리즈의 일부다. 앞서 선대본은 1·2탄 공약으로 전기차 충전 요금을 동결하고, 지하철 정기권 사용을 버스 환승까지 확대한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