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교전]한·미 다각적인 물밑협의

2002.07.01 18:32

서해교전 이후 한·미 양국의 군사·외교 분야 움직임이 한층 빨라지고 있다. 특히 양국은 사태의 원인 분석 및 향후 대응책 마련을 위한 다각적인 물밑접촉을 진행중이어서 주목된다. 정부는 이번 사태가 북·미대화의 지연 또는 무기 연기로 이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공식 입장을 외교경로를 통해 미 정부에 전달했다. 임성준(任晟準)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지난달 30일 “(북·미대화는) 예정대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국도 그렇게 할 것으로 본다”는 희망섞인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미국의 반응은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사건 발생시점이 주말이다보니 미국의 입장 표명은 물리적으로 우리 시각으로 2일에야 나올 것”이라며 “상황이 상황이니 만큼 공식 입장 표명이 늦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하지만 외형상 평온한 움직임과는 달리 물밑에서는 긴밀한 협의가 이뤄지고 있다는 징후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1일 “미국은 이번 사태의 배경 파악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의 의도에 따라 미 정부의 향후 대응책이 정해질 것임을 강력 시사한 것이다. 현지 부대의 독자적인 판단에 따른 우발적인 행동이냐, 아니면 모종의 목적을 위해 정권 차원에서 내려진 결단이냐에 따라 향후 미국의 입장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

또다른 당국자는 “현재까지 평양 차원의 지시가 해당 부대에 내려졌다는 정보는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서해교전이 북한 최고사령부 지시에 따른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말이다. 우리 군은 현재 통신감청 등 대북관련 정보의 거의 100%를 미 정부에 의존하고 있다.

북한 당국의 조속한 입장표명이 사건 해결의 긍정적 신호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미국은 이번 사태에 대한 북한의 진지한 해명이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며, 이를 위해 조만간 북한과의 접촉에 나설 것”이라며 “북한이 대북 특사제의를 조속히 수용하는 것이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차세현기자 csh@kyunghyang.com〉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