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국 수감 한국인 가혹행위 전면조사”

2012.07.31 22:13 입력 2012.08.01 02:45 수정
손제민 기자·베이징 | 오관철 특파원

미온 대응서 강경 대처로… 중국은 ‘김영환 고문’ 부인

중국 정부는 31일 대북 인권운동가 김영환씨가 주장한 고문 의혹을 부인했다. 한국 정부는 재차 진상조사를 요구하는 한편 중국에 수감돼 있는 모든 한국인들을 상대로 가혹행위 여부를 파악해 중국 측에 문제제기를 하겠다고 밝혔다. 미온대응이라는 비판을 받아온 한국이 중국에 외교적 대응 수위를 높인 것이다. | 관련기사 2면

중국 외교부 대변인실은 이날 “중국의 주관 부문(국가안전부)이 사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법에 따라 조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은 한국인 사건 연루자(김영환씨 일행)의 합법적 권익을 보장했다”고 덧붙였다.

중국 측은 아울러 이러한 입장을 한국 정부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중국 측이 고문 여부에 대한 직답을 피하면서 법에 따라 처리했다는 입장을 강조함으로써 김씨의 고문 주장을 부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조태영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그것은 우리가 김영환씨가 귀국한 다음날 중국 측에 요청한 진상조사에 대한 답변이 아니다”라며 외교채널을 통한 공식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주중 한국대사관 관계자는 “김씨가 귀국해 공개적으로 고문 의혹을 제기한 이후 현재까지도 중국의 입장이 크게 달라진 점은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날 중국에 수감된 모든 한국인들에 대해 영사면담을 갖고 가혹행위 여부를 파악하겠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외교부 대변인 성명 형식으로 “현재 중국 내에 수감 중인 모든 우리 국민들에 대해서도 추가 영사면담을 통해 가혹행위 여부를 파악해 그 결과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중국에 수감된 한국인은 625명이다.

조 대변인은 “정부는 중국 측에 진상조사와 그에 따른 사과 및 책임자 처벌, 그리고 재발 방지 등을 엄중히 요구했고, 이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해 나갈 것”이라며 “중국이 고문방지협약의 당사국이니만큼 동 협약의 정신에 따른 철저한 진상조사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는 “김영환씨가 유엔 등에 이의를 제기하면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영환씨의 고문 폭로로 불거진 양국 간 외교 갈등이 한층 고조될 것으로 전망된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