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처세대’ 저소득 1960년대생 ‘절반’이 고독사 우려

2024.06.03 07:55 입력 2024.06.03 13:45 수정

응답자 15%는 부모·자녀 ‘이중부양’

1960년대생의 월 소득 수준별 고독사 가능성 인식. 돌봄과미래 제공

1960년대생의 월 소득 수준별 고독사 가능성 인식. 돌봄과미래 제공

1960년대생의 15%가 부모와 자녀 모두에게 경제적 지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960년대생 3명 중 1명은 본인의 고독사를 우려한다고 했다.

재단법인 돌봄과미래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8~15일 1960년대생(만 55~64세) 980명을 대상으로 웹·모바일 조사를 실시했다. 1960년대생은 모두 85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6.4%다. 내년부터 1960년생을 시작으로 65세 이상인 법적 노인 연령에 접어든다.

1960년대생은 ‘마처세대’(부모를 부양하는 ‘마’지막 세대이자, 자녀에게 부양받지 못하는 ‘처’음 세대)로 불린다. 이번 조사에서 1960년대생 응답자의 15%는 부모와 자녀 양쪽 모두를 부양하는 ‘이중부양’을 하며 월평균 164만원을 부모·자녀를 돌보는 데 지출하고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 10명 중 3명(29%)은 본인이나 배우자의 부모와 함께 살았다. 부모가 있는 응답자의 44%가 부모에게 월평균 73만원의 용돈을 지급했다. 응답자의 절반(49%)은 부모가 편찮아서 돌봄이 필요하다고 했고, 이중 32%는 부모를 직접 돌본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4%는 자녀에게 월평균 88만원의 경제적 도움을 주고 있다.

고독사를 걱정하는 1960년대생이 적지 않았다. 응답자의 10명 중 3명(30.2%)은 본인이 고독사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본인의 고독사를 걱정하는 비율은 월 소득 200만원 미만에서 절반에 가깡운 49.9%로 가장 높았다.

응답자의 52%는 퇴직자였고, 퇴직자 중 54%가 재취업 또는 창업으로 일을 하고 있었다. 일하는 경우 평균 2.3개의 일자리를 가지고 있었는데, 일을 하는 이유로 “아직 더 일할 수 있는 나이라고 생각”(37%), “가계의 경제적 필요”(29%), “일하는 삶이 더 보람”(17%) 등을 들었다.

1960년대생의 대다수가 국가의 돌봄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고 봤다. 응답자의 98%가 “우리 사회에서 돌봄은 반드시 필요하다” “앞으로 돌봄 문제가 점점 더 심각해질 것이다”고 생각했다. 응답자의 86%는 “노인, 장애인, 환자에게 국가와 사회가 제공하는 돌봄서비스를 지금보다 확대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1960년대생은 본인의 기대수명을 85.6세로 예상했다. 자신이 건강하지 못한 상태로 사는 기간을 6.7년으로 생각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