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중국, 워싱턴 선언 트집…도대체 어쩌라는 건가”

2023.05.02 21:04 입력 2023.05.03 09:29 수정

기자단 오찬서 비판

윤석열 대통령이 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앞 야외 정원인 '파인그라스'에서 출입 기자단과 오찬 간담회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앞 야외 정원인 '파인그라스'에서 출입 기자단과 오찬 간담회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은 2일 한·미 정상회담을 둘러싼 중국의 반발을 겨냥해 “(북한이) 안보리(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한 것에 대해 제재에 전혀 동참을 안 하면서 우리보고 어떻게 하라는 얘기인가. 우리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도출된 ‘워싱턴 선언’과 미국 초밀착 행보의 정당성을 중국의 대북 정책에서 찾는 발언으로 풀이된다. 북핵 대응의 불가피성을 들어 중국·러시아에 대한 외교공간 축소 우려를 돌파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 청사 앞 야외정원 ‘파인그라스’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오찬 간담회에서 중국 반발에 대한 질문에 “한·미 간 워싱턴 선언하고 핵 기반으로 안보협력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이의를 제기하고 비판하려면 (북한의) 핵 위협을 줄여주든가 적어도 핵 위협을 가하는 데 대한 안보리 제재는, 국제법은 지켜줘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지난달 26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에서 도출된 워싱턴 선언은 확장억제 실행과 관련해 한·미 간 핵협의그룹(NCG)을 신설하는 것이 골자다. 중국 정부는 이를 두고 “일부러 긴장을 조성하고 위협을 과장해서는 안 된다”고 비판해왔다.

윤 대통령은 한·중 간 긴장 고조로 양국 경제 교류 경색 우려가 나오는 데는 “중국이 우리한테 적대행위만 안 하면 서로 계약을 정확히 지키고 예측 가능하게 하고, 상호존중하면 중국하고 얼마든지 경제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 선언을 두고는 한·미 안보동맹이 “핵 기반으로 업그레이드”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신설된 핵협의그룹은 한·미 간에 일대일 관계로 더 자주 만나 더 깊게 논의한다는 점에서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의 핵기획그룹(NPG)보다 더 실효적”이라며 국무위원들에게 워싱턴 선언 구체화를 당부했다.

이날 간담회는 4일 ‘용산어린이정원’ 개방과 관련, 기자단과 대통령실 참모진의 행사에 윤 대통령이 깜짝 방문하며 이뤄졌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