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의 압박에 ‘강 대 강’ 대응… 정부, 북 돌발행동 2시간 만에 조목조목 반박

2013.07.25 22:19 입력 2013.07.25 23:26 수정
홍진수 기자

정부는 25일 북한이 실무회담 결렬에 이어 ‘개성공단 북한군 재주둔’을 언급한 데 대해 강력 대응했다.

통일부는 북한의 ‘돌발행동’이 일어난 뒤 2시간여 만에 북한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하는 ‘설명문’을 출입기자단에 배포했다.

이어 곧바로 김형석 대변인이 긴급 브리핑을 통해 발표한 성명에서 “정부로서는 중대한 결심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의 압박에 ‘강 대 강’으로 맞서며 재차 ‘진정성 있는 태도’를 요구했다.

통일부는 이날 밤 A4 용지 2장 분량의 긴급 설명문을 배포했다. 통일부는 설명문에서 이날 북측이 제안한 재발방지 조치 내용을 일부 공개하기도 했다. 그간 실무회담 후 간략한 브리핑을 하던 것에 비하면 이례적이다.

북측이 기습적인 기자회견을 통해 남측이 회담에 전혀 성의를 보이지 않는다고 주장한 것에 대한 정면 반박이었다.

이어진 김 대변인 성명에선 톤이 더 높아졌다. 김 대변인은 “정부는 북한이 개성공단 실무회담에 대해 사실상 결렬을 선언한 것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북한 측이 회담 종료 직후, 우리 측의 제지에도 불구하고 기자실에 난입해 사전에 준비한 기자회견문을 일방적으로 배포·낭독하고 합의서(안) 등 회담 관련 문건을 공개한 것에 대해서도 유감”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개성공단 존폐 기로” “중대 결심” 등을 언급했다. 그러나 김 대변인은 중대 결심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다의적 해석이 가능하지 않도록 명료하게 표현했다”면서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았다.

실무회담에 참여한 김기웅 통일부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도 현지에서 별도 브리핑을 열었다.

김 지원단장은 “재발방지 보장 문제에 대한 집중적인 협의를 진행했으나 북한 측이 기존 입장을 고수함에 따라 진전이 없었다”며 “북한은 합의서를 기술적으로 타결하고 개성공단의 조기 재가동 등 자신들의 기존 입장을 관철하는 데 주력했다”고 전했다.

또 “북한이 진정으로 개성공단을 정상화시킬 의지가 있다면 지금이라도 우리 측 입장을 수용해야 할 것”이라며 “정부는 대화를 통해 개성공단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