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이틀째 통신선 무응답…정부는 ‘당혹’

2021.08.11 20:32 입력 2021.08.11 21:01 수정

훈련 이유 재개통 2주 만에

북한은 11일 남북 공동연락사무소와 군 통신선 채널을 통한 정기통화에 오전과 오후 모두 응답하지 않았다. 한·미 연합훈련의 사전연습이 시작된 전날 오후 마감통화에 이어 이틀째 ‘불통’이다. 13개월 만의 통신선 재개를 남북관계 개선 계기로 삼으려던 문재인 정부로서는 난감한 상황이 됐다.

북한은 이전에도 정치적 필요에 따라 통신선 복원과 단절을 반복해왔다. 지난해 6월9일에도 남측의 대북전단 살포를 문제 삼아 통신연락선을 일방적으로 단절했다가 413일 만에 복원했다.

정부는 통신선 재개를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가동 계기로 삼기 위한 후속 조치에 나섰다.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지난달 30일 민간단체의 대북 인도협력 물자 반출 신청 2건을 승인했다. 지난해 9월 서해상 공무원 피격 사건 이후 대북 인도협력 물자의 반출 승인을 잠정 중단한 지 10개월 만이다. 정부는 북측에 남북 간 화상회담 시스템 구축도 제안했다. 추석 계기 이산가족 상봉, 나아가 화상 정상회담 등을 고려한 행보다.

그러나 남북 대화 재개의 신호탄으로 봤던 통신선 복원이 한·미 연합훈련을 이유로 2주 만에 먹통이 되자 정부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임기 내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가동에 차질을 빚는 것은 물론 남북관계가 더 악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미는 13일까지 사전연습을 진행하고, 16일부터 열흘간 본훈련인 연합지휘소훈련을 할 예정이다. 당분간 북한이 통신선에 응답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전날 담화 말미에 “남조선 당국자들의 배신적인 처사”를 언급한 것을 두고, 국민의힘 대선 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단절된 통신선 복구를 진행하면서 북한과 이면 협의한 내용이 있느냐”고 적었다. 청와대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전면 부인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한의 연이틀 담화에 대해 “한반도 평화·안정과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 남북이 서로 노력하겠다”는 원론적 입장만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상황을 예단하지 않고 북한 태도 등을 면밀하게 주시할 것”이라고 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