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극초음속미사일 첫 시험발사·액체연료 앰풀화 성공 발표

2021.09.29 17:36

북한이 신형 극초음속 미사일을 처음으로 시험발사했다고 29일 발표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이 신형 극초음속 미사일을 처음으로 시험발사했다고 29일 발표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이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음속(마하1)의 5배 이상 빠르게 돌진하는 데다 회피기동 능력까지 갖춰 현존하는 미사일방어체계(MD)로는 요격이 어렵다. 북한이 실제로 이 같은 능력을 확보한다면 역내 안보에 대한 우려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군 당국은 북한이 아직 개발 초기 단계로 실전 배치까지는 상당 기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국방과학원은 28일 오전 자강도 룡림군 도양리에서 새로 개발한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8형’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또 “미사일의 비행조종성과 안정성을 확증하고 분리된 극초음속 활공비행전투부의 유도기동성과 활공비행특성을 비롯한 기술적 지표들을 확증했다”면서 “시험결과 목적했던 모든 기술적 지표들이 설계상 요구에 만족됐다”고 평가했다. 전날 북한이 동해상으로 쏘아올린 단거리 미사일 추정 발사체 1발이 북한이 연초 개발 및 시험제작을 공언한 극초음속 무기라고 확인한 셈이다. 다만 미사일의 고도와 비행거리와 제원을 식별할 수 있는 미사일 발사대(TEL)는 공개하지 않았다. .

이날 박정천 노동당 비서와 국방과학부문 지도 간부들이 참관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참석하지 않았다.

이번 발사는 화성-8형 미사일을 이용한 극초음속 활공비행전투부(활공체·HGV) 시험으로 보인다. HGV는 탄도미사일 등에 실려 발사돼 고도 30∼70㎞로 올라가서 분리된 후 성층권에서 진행방향을 바꿔가며 활강한다. 마하5(시속 6120㎞) 이상의 빠른 속도로 움직이고, 예측이 불가능한 비행궤적을 보이기 때문에 현존 MD체계로는 요격이 어렵다. 게임체인저로 불리는 이유다. 미국·중국·러시아도 앞다퉈 차세대 전력으로 선정해 개발에 몰두 중이다. 한국도 지난해 8월 당시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극초음속 미사일 기술 개발 사실을 처음 밝혔다.

북한은 지난 1월 김 위원장이 8차 당대회 사업총화 보고에서 “가까운 기간 내에 극초음속 활공비행전투부를 개발 도입할 데 대한 과업”을 밝힌 후 8개월 만에 첫 시험발사를 진행한 셈이다.

다만 한·미 정보 당국에 탐지된 북한 미사일 속도가 마하3 안팎에 그친 것으로 알려져 아직 개발 초기 단계라는 평가가 나온다. 발사체의 비행거리는 200㎞에 미치지 못했고, 고도는 지난 15일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60㎞)의 절반 정도에 그친 것으로 전해졌다.

군 당국도 현 수준에서는 한·미 MD체계로 탐지와 요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한이 시험 발사했다고 공개한 ‘극초음속 미사일’의 탐지된 속도 등 제원을 평가해볼 때, 개발 초기 단계로 실전배치까지는 상당기간 소요될 것으로 판단된다”며 “현재 한·미연합자산으로 탐지 및 요격이 가능한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북한이 극초음속 미사일 기술을 상당 부분 축적한 것으로 보여 추가 시험발사 과정을 거쳐 실전배치 단계까지 이른다면 MD망 보완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이날 “처음으로 도입한 암풀화(앰풀화)된 미사일연료계통과 발동기의 안정성을 확증했다”고 밝혔다. 앰풀화는 액체연료를 용기에 담아 발사할 때마다 끼워 넣어서 쏘는 방식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김동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앰풀화는 밀봉을 통해 액체연료를 오래 보관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액체연료가 가진 발사 전 주입이라는 단점을 극복하고 출력 등 장점을 이용하려는 것”이라고 했다.

미사일 액체연료는 점화할 때 산성과 독성이 강한 산화제를 혼합해 추력을 높인다. 산화제 때문에 엔진이 쉽게 부식될 우려가 있어 발사 1~2시간 전에 주입해왔다. 앰풀화 기술은 기존의 주입식 액체연료 공급방식과 달리 주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지난 1월 당대회에서 무기체계개발 5개년 계획을 밝힌 북한은 이달 들어서만 3차례 미사일 시험발사를 단행하며 핵무기 소형화, 고도화, 전략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에 대해 ‘최우선 5대과업’, ‘최중대사업’이라고 표현했다. 아직 초기단계임을 고려할 때 활공비행 안전화, 유도기능 정밀화 등을 위한 추가 시험 발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미국, 중국, 러시아 등이 개발하는 동일한 무기체계인 극초음속 미사일을 시험 발사해 북한의 무기 개발이 ‘불법’이 아닌 국제사회에 통용되는 일상적 행위로 치환하고 북한 핵무기 개발의 불법성을 가리려는 시도”라고 분석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