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자위력 행사 정식 경고”…지·해·공 동향 비판하며 ‘위협’

2024.05.26 13:14 입력 2024.05.26 18:58 수정

북 국방성, 한·미 공중 정찰에 “적대적 정탐 행위”

“삐라 살포, 비열한 심리 모략 책동…맞대응”

‘NLL 이남’ 해상국경선 주장 “모든 책임은 대한민국에”

북한 공식매체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하여 24일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20차 정치국회의를 주재했다고 25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 공식매체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하여 24일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20차 정치국회의를 주재했다고 25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이 한·미 공군의 공중 정찰과 해군·해경의 기동 순찰, 민간단체의 대북 전단(삐라) 살포 행위 등에 반발하며 “어느 순간에 수상에서든 수중에서든 자위력을 행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정식 경고한다”고 위협했다. 한·중·일 정상회의 등 주요 이벤트를 계기로 고강도 군사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김강일 북한 국방성 부상은 26일 북한 공식 매체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최근 미국과 한국 괴뢰공군의 각종 공중정찰수단들이 우리 공화국에 대한 적대적인 공중정탐행위를 로골적으로 강화하고 있다”며 이는 “각이한 군사 연습들과 함께 지역의 군사적 긴장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이라고 했다.

김 부상은 해군과 해경의 기동 순찰이 “해상국경선을 침범”했다고도 주장했다. 그는 “해상 주권이 지금처럼 계속 침해당하는 것을 절대로 수수방관할 수 없으며 어느 순간에 수상에서든 수중에서든 자위력을 행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정식 경고한다”면서 “만약 해상에서 그 무슨 사건이 발생할 경우 모든 책임은 전적으로 우리의 경고를 무시하고 공화국의 해상주권을 침해한 대한민국이 지게 될 것”이라고 했다.

김 부상이 언급한 ‘해상국경선’은 북한이 2007년 주장한 경비계선으로 추정된다. 한국 정부와 군은 북방한계선(NLL)을 유일한 경계선으로 보고 있는데 북한은 NLL을 인정할 수 없다며 NLL 이남에 경비계선을 그었다. 서해상 남북 군사적 충돌 우려가 늘 높은 이유다.

김 부상은 “최근 들어 우리의 국경 지역에서 삐라와 각종 너절한 물건짝들을 살포하는 한국의 비렬한 심리 모략 책동이 우심하게 나타나고있다”며 “국경 지역에서의 빈번한 삐라와 오물살포행위에 대하여서도 역시 맞대응할 것”이라고 엄포를 놓았다.

김 부상은 “24일 우리 최고군사지도부는 군대에 이상과 같은 우리 국가주권에 대한 적들의 도발적인 행동에 공세적 대응을 가하라고 지적하였다”고 했다. 이는 지난 24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참석 하에 열린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20차 정치국 회의를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정치국 회의에서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는 군사 정세에 대한 보고를 했다고 통신이 25일 보도했다.

북한이 지상·해상·공중 동향을 짚으며 각각의 맞대응을 위협한 것이어서 북한이 조만간 대규모 군사 도발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당장 26~27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가 변수다. 최근 사회주의권 국가들과의 연대 결속을 강조하고 나선 북한으로서는 4년 5개월 만에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에 예민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다음 달에는 6·25전쟁 74주년, 노동당 중앙위 제8기 제10차 전원회의가 열릴 예정이어서 북한이 한국의 군사 활동을 명분 삼아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군 당국은 북한이 최근 군사정찰위성 만리경-2호 발사를 준비하는 정황을 포착했다고 지난 24일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윤석열 대통령이 리창 중국 총리와의 회담에서 북한 핵·미사일 위협, 북·러 군사거래 등과 관련해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평화의 보루 역할을 수행해달라고 당부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을 활용한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가 임박한 것으로 안다. 다른 미사일 도발을 섞어 할 개연성이 있다”며 “한·일·중 정상회의 시기는 물론 그 직후에도 우리 정부는 안보 대비 태세를 확고하게 챙길 것”이라고 밝혔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