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거품달여 엑기스로

2000.09.01 19:06

정부가 1일 내놓은 ‘코스닥시장 대책’은 시장을 벤처기업 중심으로 활성화하고 주식물량 부담을 줄이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벤처·인터넷산업 활성화 방안’은 투자펀드를 통해 유망 벤처에 자금을 공급하고 인수·합병(M&A) 지원으로 벤처의 구조조정을 꾀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정부의 비상인식=장기침체에 빠진 코스닥시장을 살려 투자자의 신뢰를 잃어가고 있는 벤처·인터넷산업에 활기를 불어넣어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생각이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 경제의 활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없다는 판단이다.

재경부 관계자는 “벤처·인터넷기업의 자금조달 창구인 코스닥시장이 극도로 침체된 것은 유상증자·기업공개 등으로 주식물량은 크게 늘었지만 수요는 뒷받침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에 따라 코스닥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공급을 줄이고 수요는 부추기는 여러 가지 대책을 내놓았다.

◇시장은 중장기 효과 기대=대부분의 증시 전문가들은 “이번 대책은 중장기적으로 시장의 체질강화에 상당히 기여할 것”으로 평가했다. 특히 과거처럼 ‘반짝’ 효과를 위해 수요를 늘리는 방법이 아니라 물량 줄이기, 투명성 높이기 등 근본적 대책을 많이 담았다는 데서 높은 점수를 주는 분위기다.

현대증권 박문광 수석연구원은 “올해 유·무상증자와 신규 등록이 코스닥시장의 수급을 깨뜨렸다”며 “이를 적정한 수준에서 제한하려는 정부 방침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우수 벤처기업을 적극 유치한다는 방안도 시장의 근본 취지를 살리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LG투자증권 전형범 연구원은 “시장참여도에 따라 공모주 배정을 달리하는 방안은 수요확충에 다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가격제한폭 확대는 세계적인 추세이나 그렇다고 투기적인 투자행태를 개선시킬 정도의 효과를 낼지는 의문이어서 별 의미가 없다는 것이 지배적인 시각이다. 창투사의 보유주식 매각 제한에 대해서는 “벤처 투자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지적과 “창투사가 충분히 소화해낼 만한 수준”이란 반응이 엇갈렸다. 전형범 연구원은 “이번 대책은 장기적으로 시장의 활력을 살릴 것으로 보이지만 단기적 효과는 약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벤처기업의 M&A에 큰 관심=M&A가 위기에 빠진 벤처기업에는 회생의 발판으로, 튼튼한 기업에는 사업확장으로 한단계 도약하는 기회가 되리라는 것이 벤처 쪽의 시각이다. M&A 추진설이 나돌던 벤처기업 관계자는 “M&A 과정에서 발생하는 세금부담을 덜어주고 사모 펀드의 의결권 제한을 폐지한 것은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큰 기대를 가져서는 곤란하다는 지적도 있다. 벤처기업 전문 컨설팅사인 이비즈그룹 강태영 사장은 “아직도 M&A를 부정적으로 보는 일반 정서와 주식 5취득시 당국에 신고해야 하는 등의 조항이 남아 있는 등 아쉬운 부분도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박구재·박성휴·이인열기자 goodpark@kyunghyang.com〉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