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 공개’ 논란 가열…정치쟁점 비화

2002.03.01 18:38

3·1절을 기해 ‘민족정기를 세우는 의원모임’이 발표한 친일파 명단을 놓고 일부 언론과 야당이 반발하고 여당과 학계·시민단체 등이 이를 맞비난하고 나서는 등 친일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창립자가 친일파 명단에 포함된 동아·조선일보 등 당사자측이 친일파 심의·공개과정에 문제가 있다고 반발함에 따라 차제에 객관성이 보장된 친일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 제정과 특별기구 구성이 시급하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광복회 윤경빈(尹慶彬) 회장은 1일 “‘광복회가 의원모임의 친일파 명단 발표에 불만을 표시했다’는 동아·조선일보의 보도는 왜곡보도”라고 주장했다.

윤회장은 “같은 친일파라도 죄질에 경중의 차이가 있다는 심의위원들의 의견을 전달했을 뿐 의원모임의 발표에 항의하거나 이의를 제기한 사실은 없다”고 밝혔다.

앞서 동아·조선일보는 1일자 지면을 통해 “광복회는 의원모임이 명단을 정치적 고려에 의해 자의적으로 선정한 것에 대해 유감을 표시했다”고 보도하며 강력 반발했다. 친일파를 둘러싼 논란은 민주당이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 총재도 부친의 친일행적에 대해 솔직하게 고백하라”고 비판하고, 한나라당은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야말로 친일파 중의 친일파”라고 역비난하는 등 양대 선거를 앞두고 여야간 정치쟁점으로도 비화되고 있다.

민주당 정동영(鄭東泳) 고문은 보도자료를 통해 “친일가문인 이회창 총재의 대선 출마는 역사적·국민적 치욕”이라며 “이총재는 일제하 15년간 검찰 서기로 근무한 부친의 친일행적에 대해 솔직하게 고백하고 국민적 검증을 받아야 한다”고 정면 비판했다.

한나라당 남경필(南景弼) 대변인은 이에 대해 “일제때 공무원을 했다면 전부 친일파라는 인민재판식 논리는 척결돼야 한다”면서 “정고문의 명백한 허위사실 유포에 대해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민련 정진석(鄭鎭碩) 대변인도 “친일파로 발표된 인사들을 옹호하고 싶은 마음은 없지만 다분히 모호하고 막연한 잣대로 매도하는 것은 지나치다”고 친일 논란에 가세했다.

이에 대해 가톨릭대 안병욱(安秉旭·사학과) 교수는 “해방 이후 국가에 공로가 있었다면 있는 대로, 친일행적이 있었다면 있는 대로 그 자체가 역사적 팩트(사실)”라며 “특별기구 등에서 공정하게 시시비비를 가리면 될 일이지, 공적이 있다고 친일행적을 없었던 일로 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박래용·임영주기자 leon@kyunghyang.com〉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