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파 16인 추가선정’ 논란 확산

2002.03.01 18:51

국회의원들의 친일파 명단 발표를 놓고 정치권과 언론계, 학계를 중심으로 논란이 일고 있다. 그러나 학계 등에서는 이번 명단 공개가 당사자들에 대한 응징과 처벌보다는 과거 청산을 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한번쯤 이뤄져야 할 일이라고 보는 견해가 대세다. 선정기준과 경위와 관련한 일부언론과 야당의 의문제기에 대해 “대상자들이 친일을 한 것은 분명하지 않으냐”며 당사자들의 공(功)은 물론 과(過)도 공개돼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논란 확산=창립자 방응모(方應謨), 김성수(金性洙)가 명단에 포함된 것을 두고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1일자에서 “윤경빈(尹慶彬) 광복회장이 ‘광복회는 692명의 친일행위자 명단을 확정해 국회에 청원했으나 의원모임이 16명을 추가해 발표했다’며 ‘그것은 광복회와 무관한 것으로, 선정에 참여한 국회의원들의 책임이다’라며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윤회장은 1일 “16명이 추가된다는 사실을 발표 전에 이미 전해 들었다”며 “내가 유감을 발표할 자격이 있나”라며 ‘유감 표명’ 사실을 부인했다.

두 신문은 또 ‘의원들이 자의적으로 16인을 명단에 추가했다’는 취지로 보도했지만 민족정기 의원모임 자문위원인 한성대 윤경로(尹慶老) 교수는 “16명의 친일·반민족 행적에 대한 사료적 증거가 충분하다”며 “해방 이후 공로가 있다고 해서 친일행적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윤교수는 “이번 일은 역사청산이라는 점에서 당연히 한번은 짚고 넘어 가야 할 문제”라고 덧붙였다.

◇선정 경위와 학계·정치권 반응=의원모임의 자문위원인 동국대 한상범(韓相範) 교수는 “지난달 27일 자문회의에서 추가 심의대상인 17인 가운데 1명만 제외하고 16인을 명단에 넣는 것에 대해 이의가 없었다”며 “전체가 동의해 명단 포함 여부를 놓고 투표할 상황도 아니었다”고 말했다. 한교수는 이어 조선·동아일보 등을 겨냥, “친일에 대한 사과를 제쳐놓고 ‘공이 있다’ ‘기준이 잘못됐다’고 자꾸 시비를 거는데 과연 그게 정론이냐”고 반문했다. 가톨릭대 안병욱(安秉煜) 교수는 “우리 사회가 아직도 친일파를 거론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의원들이 친일파 명단을 발표한 것은 대단히 용기있는 행동”이라며 “조선이나 동아가 보도하는 것은 철저히 자기 회사의 이기적 잣대로 재단하는 것이어서 말이 안된다”고 일침을 가했다.

한나라당 서상섭(徐相燮) 의원은 “친일을 했는지에 대해 팩트(사실)만 확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족정기 의원모임 회장인 민주당 김희선(金希宣) 의원은 이번 발표가 ‘정치적 결정’이라는 지적에 대해 “16명이 친일한 것을 몰랐다가 새로 밝혀낸 것이 아니다. 다만 그 자료가 있기 때문에 국민에게 알렸을 뿐”이라고 말했다. 같은 당 송영길(宋永吉) 의원도 “친일문제는 앞으로 남북통일과 바람직한 한·일관계를 위해서도 철저히 가려내야 한다”고 말했다.

〈최우규·김진우기자 banco@kyunghyang.com〉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