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 성폭력 추방 ‘봄바람’

2002.03.01 19:20

새학기를 앞두고 대학들이 교내 성폭력 예방 대책을 마련하느라 분주하다. 학칙 개정과 함께 ‘성폭력대책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강경 입장을 밝히는 대학이 크게 늘고 있다. 최근 4년제 대학의 여학생 비율이 36%를 넘으면서 ‘우먼 파워’가 강해지는 것과 무관하지 않은 현상이다.

1일 교육인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2월말 현재 전국의 대학 352곳 중 성폭력 예방을 위해 학칙을 개정하거나 관련 규정을 만든 대학은 325곳으로 무려 92.3%에 이른다. 교육부는 성폭력 예방을 위한 학칙이나 규정을 정비하지 않은 서울시립대와 서울교대 등 27개 대학의 명단을 이례적으로 자체 홈페이지(www.moe.go.kr)에 공개했다.

동국대는 학칙의 ‘성폭력특별위원회’ 구성 조항에서 ‘성폭력 여부를 판단하는 1차적인 기준은 피해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른다’로 성폭력을 정의, 남성들을 잔뜩 긴장시키고 있다.

서울대는 ‘성희롱·성폭력 예방과 처리에 관한 규정’을 정비, 1993년 우조교 성희롱 사건 이후 끊이지 않았던 교내 성희롱·성폭력 근절을 위해 부심하고 있다.

한양대는 ‘성폭력대책위원회’를 발족시킨 데 이어 ‘성폭력 예방과 처리에 관한 규정’을 제정했으며 ‘사이버 성폭력상담소’도 설치했다.

연세대도 ‘성폭력 예방 및 처리에 관한 규정’을 제정, 여학생처 산하에 성폭력상담소를 설치했다.

지방의 한 남녀공학 대학은 학생들이 단체 수련회를 갈 때 지도교수를 참여케 하거나 지도교수의 동의를 받게 하는 방안을 추진하자 학생들의 반발에 부딪혀 갈등을 빚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4년제 대학의 여학생 비율이 36.3%(지난해 기준)로 높아지면서 여학생들이 성폭력에 자주 노출돼 왔다”며 대책마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판수기자 pansoo@kyunghyang.com>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