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의혹 16건 추가폭로

2002.12.01 19:50

한나라당이 1일 국가정보원의 무차별 도청의혹을 제기하는 16건의 자료를 추가로 폭로, ‘도청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이부영(李富榮) 선대위 부위원장은 기자회견을 갖고 “대통령과 권력실세들의 자리 나눠먹기와 지역차별, 불법 인사개입과 인사전횡, 권력형 비리의 은폐공작 등이 낱낱이 드러났다”면서 관련내용이 담긴 2차 ‘도청 보고서’를 공개하고 대통령 사과와 관련자 처벌, 국정조사 실시 등을 요구했다.

한나라당이 2차로 공개한 자료는 청와대 고위인사, 민주당 의원, 정부 각료, 한나라당 의원, 언론사 간부, 기자간의 통화내역과 통화시점(지난 1~3월)이 적혀 있다.

자료에는 박지원(朴智元) 청와대 특보의 이수동 전 아태재단 상임이사의 불구속 처리 요청, 박특보의 정부 고위직 단독인사, 권노갑(權魯甲)씨의 모 협회 회장 선임 개입, 박준영(朴晙瑩) 국정홍보처장의 술집 여종업원 취업 주선, 남궁진(南宮鎭) 문화관광부 장관의 특정인 보직 청탁 등 각종 인사개입 의혹 등이 기재되어 있다.

당시 특보였던 박지원 대통령 비서실장은 “정부 고위직 인사를 모두 내가 처리했다는 주장은 틀리다”면서 “이재신 수석과는 통화한 적도 없고 이수동씨 불구속 처리를 요청한 일도 없다”고 말했다.

차정일(車正一)당시 특검은 “(이재신 민정수석으로부터) 전화를 받았지만 (이수동씨) 불구속 요청을 하는 말은 듣지 못했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김영일(金榮馹) 사무총장은 “국정원의 도청자료 중에는 국가안위와 관련된 민감한 부분도 있으며 대통령이 이번 사태에 대해 사과하고 관련자 처벌 등 책임있는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추가폭로를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한나라당은 별도의 보도자료를 내고 “국정원 12국 소속 연구단이 최근 ‘카스(CASS)’라는 휴대폰 도청장비를 개발했다”며 “2개가 1조로 자동차에 싣고 다니며 1개는 자동차 뒤 트렁크 안에 넣고 다른 1개는 자동차 안에서 노트북과 연결해 사용한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은 “지난 10월20일 해체된 과학안보국(일명 8국) 산하 운영단 소속 6과가 국내도청팀으로 총 41명, 3개조로 구성돼 4교대제로 운영됐다”며 “1일 평균 3,000여건을 도·감청하고 이중 60건 정도만을 국장에게 보고하고, 다시 절반 정도인 약 30건을 추려 국정원장과 2차장(국내담당)에게 보고해왔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국가정보원은 보도자료를 내고 “국정원은 현재까지 어떤 종류의 휴대폰 감청장비도 개발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운용하고 있지도 않다”면서 “한나라당이 밝힌 국정원의 감청관련 조직과 인원수는 사실과 다를 뿐 아니라, 비밀사항인 국정원의 조직과 기능을 왜곡해 공표하는 것은 국익에 반하는 행위”라고 반박했다.

〈양권모기자 sulsu@kyunghyang.com〉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