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정계 ‘對盧 의구심’ 풀기

2003.02.02 18:34

2일부터 이뤄지는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당선자의 고위 대표단 방미는 대선이후 북핵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이뤄지는 한·미간 최고위급 면담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방미 대표단은 우선 백악관과 미의회를 상대로 ‘노무현 알리기’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미행정부와 의회가 갖고 있는 노당선자에 대한 의구심을 해소, 새정부 출범전 한·미관계를 연착륙시키는 게 필요하다는 것이다.

인수위의 한 관계자는 2일 “미국은 노당선자가 대통령당선자로는 처음으로 미군철수를 주장하는 등 최근 한국내 반미감정과 관련해 노당선자의 외교정책과 국정철학 등에 대해 확인하고 싶은 게 많을 것”이라고 밝혔다.

노당선자는 이와 관련해 1일 명륜동 자택으로 대표단을 불러 북핵 불인정,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 한국의 주도적 역할 등 ‘북핵 해결 3원칙’ 등 부시 대통령에게 전달할 친서를 건넨 것으로 알려졌다.

이때문에 이번 방미과정에서는 지난번 제임스 켈리 차관보(1월12일~14일)의 ‘사전탐색’ 방한때보다는 한단계 높은 수준의 조율이 예상되고 있다.

우선 양국은 노당선자의 3월 방미를 추진하기 위한 의제및 일정에 대해서도 일정한 협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한국내 반미시위 ▲한·미 주둔군지위협정(SOFA) 개정 ▲북핵문제 해법 등 노당선자 당선 직후 양국사이에 이견으로 비춰지고 있는 현안을 집중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은 부시 행정부가 추진중인 북핵문제의 다자적 해결에 대한 노당선자의 의중을 집중적으로 물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켈리 차관보의 방한때도 북한과 미국의 직접협상방식 대신 한·중·일·러 등 주변국이 참여하는 ‘2+4’의 다자간 협상방식을 우리 정부에 제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인수위 관계자는 “북핵문제는 원칙적으로 ‘북·미 양자간 대화를 통한 일괄타결’ 및 ‘한국의 중재노력’이 우리정부의 공식입장이고 노당선자의 생각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번 방미에서는 새정부 출범을 앞두고 이견차가 부각될 경우 양국 모두 외교적 부담이 큰 만큼 북핵문제에 대한 평화적 해결 및 한·미공조를 강조하는 등 기본 공감대를 확인하는 선에서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강진구기자 kangjk@kyunghyang.com〉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