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부총리·학부모 간담회 “월급 70% 사교육비”

2003.05.01 18:15

“남편 월급의 70~80%를 아이들 사교육비로 써 남편 월급날이 가까워지면 걱정이 앞서요”

1일 오후 2시 서울 삼성동 강남교육청 5층 대회의실. 윤덕홍 교육부총리와 서울 서초·강남지역 학교운영위원, 학부모회 대표로 구성된 초·중·고교 학부모 50명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가 열렸다.

윤부총리는 “전국에서 교육열이 가장 높고 극성스러운 곳이 서울 강남지역”이라며 “황폐화된 공교육을 되살리고 제대로된 정책수립을 위해 허심탄회하게 말해 달라”고 당부하며 말문을 열었다.

이어 2시간여 동안 계속된 간담회에서는 당국의 사교육정책에 대한 학부모들의 성토가 이어졌다.

이 자리에서 학부모들은 ‘내 아이만 안시킬 수는 없다’는 불안감에 자녀들을 사설학원에 보내거나 과외를 시키고 있다고 입을 모아 공교육 위기를 실감케 했다. 초등학교 1학년생 자녀를 둔 조모씨는 “서울 강남·북의 교육편차가 커 강북에서 강남으로 이사왔다”면서 “지역별 학력차와 교사들의 실력차를 해소시킬 방안을 강구해달라”고 주문했다. 고3 수험생 학부모 서모씨는 “아이에게 고1때까지는 사교육을 안시켰지만 학원을 다니는 학생들에 비해 성적이 너무 뒤처져 조바심때문에 학원을 다니게 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학부모들 사이에서 논란이 일었다. 한 학부모회장은 “학부모총회때 담임선생님이 성적을 위해서는 학원에 보내야 한다고 노골적으로 말해 충격을 받았다”면서 “선행 학습과외를 받지 않고는 성적을 유지할 수 없을 정도로 사교육이 만연돼 있다”고 개탄했다. 반면 또다른 학부모는 “교육정책이 개선되지 않으면 학원에 계속 보내겠다”며 “부모의 호응을 얻을 수 있는 특기적성교육의 활용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 학부모는 “서울대를 없애거나 다른 대학을 서울 1·2·3대학 등으로 명칭을 바꾸면 어떻겠느냐“고 제안하기도 했다.

학부모들의 신랄한 성토와 지적을 경청한 윤부총리는 “근본적으로 자식을 서울대에 보내야 한다는 학벌 사회가 문제”라면서 “학교간 서열을 타파하고 대학을 학과·학부별로 특성화시키겠다”며 학부모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문성현기자 muns1@kyunghyang.com>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