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정치’ 학계·정치권 반응

2005.12.01 18:18

정대화 상지대 정치학과 교수는 “권력의 중심부인 청와대에서 ‘은밀함’ 대신 여러 경로를 활용한 공개적인 의사소통에 나선 것은 의미있다”고 평가했다.

말하자면 언론이 팩트를 인용할 때 즐겨 쓰는 ‘고위관계자’라는 말을 사라지게 했다는 것이다. 손호철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대통령과 참모들의 현안에 대한 입장과 고민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인터넷을 보수적 언론매체를 넘어서는 ‘대안 매체’로 사용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조희연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는 “청와대가 보수적 언론 매체 때문에 정부 정책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는 불만에서 인터넷을 활용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부정적 측면에 대한 분석은 보다 다양했다.

정대화 교수는 “국민들의 관심 사안에 대해 차분하게 의사전달이 되면 국정운영에 도움이 되지만, 설익은 내용으로 의사소통을 시도하는 것은 안하는 것만 못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교수가 논문으로, 법관이 판결로 말하듯이 정부는 정책 제안·집행으로 자신을 표현해야 한다”는 것이다.

목진휴 국민대 교수도 “인터넷 이용이 국가 정치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며 “청와대 내부의 의견교환을 위한 것이라면 인트라넷을 활용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다. 조희연 교수는 “청와대에서 인터넷은 보조적 의사소통의 수단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손호철 교수는 “걸러지거나 확정되지 않은 내용들이 공론화되면서 불필요한 논쟁이 만들어지고 있다”며 “가끔씩 정제되지 않은 언어가 사용되는 것도 대단히 위험스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야당의 반응은 싸늘했다.

한나라당 이정현 부대변인은 “정책 설명이나 국민 설득이 아닌 반격·반발·변명의 내용으로 흐르면서 청와대 스스로 권위를 실추시키고 국민 불신의 대상이 되는 결과를 자초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남경필 의원은 “여러 의견을 종합해 고민하는 모습 없이 한마디씩 툭툭 던지다 보면 대통령도 국민들에게 수다쟁이로 비쳐질 수 있다”고 말했다. 여당의 한 중진의원은 “인터넷을 통한 교류는 자칫 진의의 왜곡을 낳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안홍욱·김정선·이지선기자〉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