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접수’ 서울광장… 문화공연도 취소

2009.06.01 18:05

야당 “시민에 돌려줘라” 비판

정부의 ‘광장 공포증’이 서울광장에서의 시민들의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는 물론 이미 예정돼 있던 각종 문화공연도 무산시키고 있다. 야당과 시민사회단체들은 “서울광장을 서울 시민들에게 돌려줘야 한다”며 정부에 대한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달 24일 이후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열릴 예정이던 각종 행사를 모두 취소했다고 1일 밝혔다.

노 전 대통령의 영결식이 끝난 지난달 30일 새벽 경찰이 추모객들을 강제 해산하고, 전경버스 35대로 서울광장을 다시 봉쇄해 언제 다시 광장이 시민들에게 개방될지 불투명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당초 오는 4일부터 10월10일까지 저녁마다 서울광장에서 ‘문화와 예술이 있는 서울광장’이라는 제목으로 ‘클럽데이 인 서울광장’ ‘클래식 뮤지엄’ 등의 문화행사를 열 예정이었으나 이 가운데 4일 행사는 이미 취소됐다. 또 5월30~31일 열릴 예정이던 한·필리핀 수교 60주년 기념 행사와 6월3~5일 예정된 시·도간 나눔장터도 모두 취소된 상황이다.

서울시 문화예술과 임종현 예술정책팀장은 “경찰 측과 계속 접촉을 시도하면서 언제 경찰 버스가 철수하고, 공연을 재개할 수 있을지 협의하고 있지만 경찰 측에서 명확한 답변을 해주지 않아 답답한 상황”이라며 “7일부터 예정된 공연에 대해서는 일단 준비는 하고 있지만 공연자들에게 취소될 수도 있다고 알려놓았다”고 말했다.

시는 서울광장의 문화공연 일정에 대해서는 상황을 지켜본 후 발표하겠다는 입장이다. 서울시 엄연숙 문화예술과장은 “상황이 안정될 때까지 서울광장에서 공연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며 “언제 다시 문화공연을 시작할 수 있을지는 예상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야당은 서울광장의 전면 봉쇄에 대해 “옹졸하다” “독재의 광장이 됐다”며 한목소리로 비판했다.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추모기간 내내 이 정권이 보여준 옹졸한 행태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런 속좁은 태도로는 화해와 통합은 어렵다”고 말했다. 노영민 대변인은 논평에서 “광장의 봉쇄는 국민과의 소통을 거부하는 이명박 정권의 상징”이라고 지적했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은 구두 논평을 통해 “이런 정부의 결정은 시민들의 분노를 더 자극하는 역작용으로 나타날 것”이라며 “참으로 생각없는 정부”라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법 요건에만 맞는다면 서울광장은 시민에게 돌려줘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노동당 우위영 대변인도 “시민의 광장이 독재의 광장으로 돌아가버렸다”며 “완벽한 독재를 하는 것 아니면 국민 전체를 시위대로 바라보는 협심증 환자들”이라고 비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