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소통 계속 거부땐 정치적 부담 커질것”

2009.06.01 18:05

하승창 시민사회단체연대 운영위원장

“정부, 소통 계속 거부땐 정치적 부담 커질것”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하승창 운영위원장은 1일 “정부가 무리하게 소통을 막는 것은 스스로 정치적 부담을 키우는 일”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6·10 범국민대회의 화두는 무엇인가.

“이명박 정부의 국정운영 기조 전환을 요구한다. 현 정부 들어 민주적 권리가 후퇴했다. 미네르바 구속과 용산 참사에서 봤듯이 다른 주장과 목소리를 억누르려 한다. 국회에서는 다수 여당이 밀어붙이기식 속도전을 하고 있다. 독재와 같은 강압 통치는 바뀌어야 한다. 또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와 관련한 대통령의 사과, 검찰총장·법무부 장관의 인책을 요구할 것이다.”

- 촛불정국 때의 요구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은데.

“정부는 지난해 촛불이 심각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한 듯했다. 단순히 참여정부 진영과 시민단체를 압박하는 방식으로 풀어가려고 했다. 이 방식이 잘못됐다는 사회 공감대가 있었다. 그런 와중에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가 일어난 것이다. 정부가 시민사회의 이번 요구도 민주적 권리를 탄압하는 방식으로 막으려 한다면 더 큰 정치적 부담을 안게 될 것이다.”

-서울광장 등 도심 야외 집회는 불허될 가능성이 큰데.

“아직 어디서 할지 정해지지 않았다. 그러나 허가를 내주지 않는 것이 더 이상한 것 아닌가. 불허된 장소에서 집회를 강행하지는 않을 방침이다. 시민들은 서울광장에 들어가지 않고 대한문 앞에 자발적으로 분향소를 차렸다. 그런데도 경찰이 차벽을 두른 것은 끝까지 소통하지 않으려는 정부의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

- 일반 시민들의 참여는 어떻게 이뤄지나.

“추모 움직임이 이미 있다. 그러나 모이는 숫자에 대한 강박은 버려야 한다. 수만명이 광장에 모여 경찰과 맞서는 기존 집회 방식은 본말을 전도하는 경우도 있다. 물리적 집결이 중요한 게 아니라 정치·사회적으로 어떤 공감대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