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길끈 김정은의 ‘인민복’‥김일성 ‘후광’ 기대?

2010.10.01 13:22

북한이 지난달 30일 처음 공개한 김정은의 모습을 보면 차기 지도자 김정은에 대한 우상화 작업이 본격화됐음을 금방 알 수 있다.

먼저 눈에 띄는 것이 김정은의 인민복 차림이다.

이번 당대표자회 참석자 가운데 인민복을 착용한 사람은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김정은 단 두명뿐이고 나머지는 양복에 넥타이를 맨 정장이거나 군복 차림이었다.

인민복은 원래 고 김일성 주석이 착용하기 시작해 북한에 널리 퍼졌다. 김 주석이 옛 중국식 편의복인 인민복을 즐겨입자 1970년대까지는 주민들도 많이 착용했지만 요즘은 김정일 위원장이 애용해 `트레이드 마크'처럼 됐다.

따라서 김정은의 인민복은 자연스럽게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위원장을 떠올리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지도자 이미지를 은연중 부각시키려는 의도를 풀이된다.

이번에 김정은 모습을 공개한 노동신문 사진이나 조선중앙TV 화면 속의 김 위원장은 늘 입던대로 카키색 인민복 차림이었다.

반면 김정은은 짙은 잿빛의 인민복을 입어 김 위원장과 구분이 되도록 했다. 아직은 김 위원장이 건재하지만 장차 자신에게 권력이 넘어올 것임을 암시하는 듯한 `색상 차별화'로 풀이됐다.

김정은의 외양에서 김일성 주석의 청년 시절 인상이 풍기는 것도 우상화 작업의 일환으로 분석된다.

사진 속 김정은은 젊은 시절의 김 주석처럼 비교적 크고 단단한 몸집에 머리칼을 뒤로 쓸어넘겼는데, 김 위원장이 후계자로 내정된 직후부터 상당 기간 아버지와 비슷한 헤어스타일을 고수했던 것과 비슷한 맥락으로 받아들여진다.

다시 말해 북한 내에서 절대적 권위를 갖는 김일성 주석의 `후광'을 권력 승계에 활용하려는 계산이라는 얘기다.

과거 김 위원장이 후계자로 나섰을 때 북한은 김 위원장의 뛰어난 자질을 소개하면서 권력세습의 불가피성을 강조했지만 이번에는 유독 혈통에 기대는 듯한 인상이 강하다.

북한에서 아직 카리스마가 통하는 김 주석의 풍모를 연상시킴으로써 주민들이 김정은을 받아들이도록 하겠다는 의도가 읽혀진다.

그런 맥락에서 보면, 베일에 싸였던 김정은을 김 주석의 `판박이'로 포장해 전격 공개한 것도, 3대 세습에 대한 외부의 비난과 내부의 동요를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김 주석의 패션과 헤어스타일을 김정은이 벤치마킹한 것으로 보이는데, 주민들에게 `새로운 김일성'으로 각인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김정은의 사진과 동영상이 공개된 만큼 김정은의 존재감을 알리는 개인숭배 작업이 매우 빠르고 활발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