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일보, 정수재단 갈등…박근혜 전 이사장 ‘곤혹’

2011.12.01 21:27 입력 2011.12.02 10:10 수정

부산일보 사태가 악화일로를 걸으면서 야당이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59·사진)를 압박하고 나섰다. 과거 박 전 대표가 이사장이던 정수재단이 부산일보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 전 대표 측은 “무리한 정치공세”라며 선을 그었다.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64)는 1일 국회에서 열린 고위정책회의에서 “부산일보가 편집권 독립 요구에 재갈을 물리기 위해 신문발행을 중단하는 사태가 벌어졌다”며 “박 전 대표가 2005년 정수재단 이사장직에서 물러났지만 아직도 측근을 내세워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정수재단의 사실상 소유자인 박 전 대표가 책임 있는 해명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일보, 정수재단 갈등…박근혜 전 이사장 ‘곤혹’

김 원내대표는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편집권의 독립성과 공정성을 확보하려면 지분 100%를 소유한 정수재단을 실질적으로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는 요지의 기사를 실을 예정이었지만 사장 지시로 윤전기 가동이 중단됐고 신문이 발행되지 못했다”며 이렇게 말했다.

민주노동당 우위영 대변인(46)도 논평에서 “비록 이사장직을 떠났다지만 박 전 대표가 측근을 통해 정수재단을 장악하고 있다는 것은 모두가 다 아는 사실 아닌가”라며 “박 전 대표가 민주적 상식을 지키는 정치인이 맞다면 속히 정수재단의 부산일보 소유를 포기하는 것이 옳다”고 밝혔다.

박 전 대표는 부산일보를 소유하고 있는 정수재단 이사장을 맡아오다 2005년 이사장직을 그만뒀다.

정수재단은 이후 측근인 최필립씨가 후임 이사장으로 임명되면서 사실상 박 전 대표의 측근을 앉힌 것 아니냐는 논란이 계속됐다. 노조는 정수재단의 완전한 사회 환원을 요구하고 있다.

부산일보 사측은 최근 정수재단으로부터 경영권 독립을 요구해 온 이호진 노조위원장의 면직을 결정하고, 관련 기사를 게재한 편집국장을 징계위에 회부했다.

노조와 편집국이 이 같은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들을 싣기로 했으나, 김종렬 사장이 윤전기 가동 중단 지시를 내려 11월 30일자 신문이 발행되지 못했다.

박 전 대표 측은 “무리한 정치공세”라며 언급 자체를 피했다. 이미 정수재단에서 손을 뗀 박 전 대표에게 입장 표명을 요구하는 것은 정치적 의도로 해석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박 전 대표 측으로서는 기부 확산 등과 맞물린 정수재단의 사회 환원을 요구하는 주장에 곤혹스러울 수밖에 없는 입장에 놓인 셈이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