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인도, 중국 견제 본격화…“첨단기술·국방 협력 강화”

미국과 인도가 반도체·5G 통신 등 첨단기술을 포함해 우주 및 국방 분야 협력 강화를 골자로 하는 이니셔티브를 공식 출범했다. 미국이 중국 견제를 위해 인도·태평양 역내 동맹 및 파트너들과의 공조를 강화하려는 행보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백악관은 31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양국 정부 기업 학계의 전략적 기술 파트너십과 방위산업 협력을 승격·확대하기 위한 핵심신흥기술 구상(iCET)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양측이 핵심 신흥기술 관련 협력을 확대하고 양국 간 혁신 생태계의 연결성을 심화하기 위한 공동 개발·생산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인공지능(AI), 양자컴퓨팅, 5G 및 6G 무선네트워크, 오픈랜 기술 등이 협력 분야로 언급됐다. 반도체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서 인도 반도체 업체들과의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미국 방산업체인 제네럴일렉트릭(GE)이 미국 정부의 허가를 받아 인도와 제트 엔진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이날 워싱턴에서 개최된 iCET 출범회의에는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아지트 도발 인도 국가안보보좌관을 비롯해 양국 고위급 인사들이 두루 참석했다. 미국 측은 항공우주국(NASA)·국립과학재단·대통령 직속 국가우주위원회·국무부·상무부·국방부 고위관계자, 인도측은 수석과학보좌관·인도우주연구기구·통신부·국방부·전자정보기술부 측 관계자 등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9월 24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워싱턴|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9월 24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워싱턴|AP연합뉴스

미·중 패권 다툼이 치열한 첨단기술, 국방, 우주 등의 분야에서 미국과 인도가 공조를 강화하는 것은 중국 부상을 견제하려는 의도가 다분하다. 백악관은 이날 발표한 팩트시트에서 “두 나라는 기술의 설계·개발·관리·사용 방식이 민주적 가치와 인권 존중에 기반해야 한다는 점을 재확인했다”면서 “iCET는 양국이 공유하는 민주적 가치와 민주적 제도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행정부는 출범 이후 줄곧 인도가 미국이 주도하는 중국 견제 구상인 쿼드,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등에 적극 참여하도록 하는 데 공을 들여왔다. 인도가 미국의 이같은 움직임에 호응한 데는 기술 주도권을 둘러싼 중국과의 경쟁이 격화되는 것은 물론, 최근 국경 지역에서 긴장이 높아진 데 따른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러시아산 무기 구매 의존도가 높은 인도가 미국과의 국방 협력을 통해 러시아와 점차 거리를 둘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탄비 마단 브루킹스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뉴욕타임스에 “(이번 구상은) 미국과 인도 관계를 다음 단계로 끌어올릴 잠재력이 있다”며 “앞으로 기업들은 사업적 측면 못지않게 전략적 측면을 평가해서 결정을 내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