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기류 사고’ 싱가포르항공, 1분간 2차례 급상승·급강하

2024.05.26 21:15 입력 2024.05.26 21:17 수정

플라이트 레이더24 자료 분석

부상자 44명 여전히 치료 중

‘기내 안전띠 착용’ 경각심도

지난 21일 난기류를 만나 태국 방콕에 비상 착륙한 싱가포르항공 여객기가 사고 당시 약 1분 사이 두 차례 급상승·하강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25일 스트레이츠타임스(ST)는 항로 추적 웹사이트 ‘플라이트 레이더24’의 상세 비행 자료를 자체 분석해 런던발 싱가포르행 SQ321편이 62초 동안 두 차례 빠르게 치솟았다가 강하했다고 보도했다. 분석에 따르면 이 여객기는 고도 3만7000피트(1만1278m)를 순항하던 중 강한 난기류를 만나 3만7400피트(1만1400m)까지 올라갔다가 떨어진 뒤 정상 고도를 되찾았다. 1분이라는 짧은 시간이지만 급격히 흔들리며 고도상으로는 약 400피트(122m)를 오간 것이다.

이는 사고 직후 알려진 내용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앞서 외신들은 해당 여객기가 3분여 만에 정상 고도에서 6000피트(1800m) 급강하했다고 전한 바 있다. ST는 “이는 기내에서 벌어진 대혼란이 실제로는 고도 자체의 변화보다는 짧은 순간에 급상승과 하강이 벌어지면서 나타났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는 당국의 공식 분석은 아니다. 싱가포르 당국은 사고기가 있는 태국 방콕으로 교통안전조사국 조사관을 보내 사고 원인 분석에 착수했다. 미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도 조사 지원에 나섰다.

런던을 떠나 싱가포르로 향하던 싱가포르항공 SQ321편(보잉 777-300ER) 여객기는 승객 211명과 승무원 18명이 탑승해 미얀마 상공을 날아가던 중 난기류를 만나 방콕에 비상 착륙했다. 이로 인해 영국인 1명이 사망하고 85명이 다쳤다. 25일 기준 방콕 소재 병원에서 치료 중인 이는 승객 43명과 승무원 1명 등 44명이다.

기내 안전띠 착용에 대한 경각심도 높아졌다. NTSB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18년까지 난기류 관련 사고로 다친 승객의 유형은 화장실을 사용 중이었거나 기다리던 중, 혹은 통로를 오가던 중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좌석에서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가 뒤를 이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