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만에 만난 중·일 외교수장, 관계개선 논의…성과는 ‘글쎄’

30일 베이징에서 만난 왕이 중국 외교부장(오른쪽)과 기시다 일본 외무상이 악수하고 있다.                 사진 중국 외교부

30일 베이징에서 만난 왕이 중국 외교부장(오른쪽)과 기시다 일본 외무상이 악수하고 있다. 사진 중국 외교부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이 지난 30일 베이징에서 만나 중·일 관계의 개선 방안을 논의했지만 합의점을 도출하는데 성공하지 못했다. 양국 간 관계의 가장 큰 걸림돌인 역사 문제와 영토 문제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했기 때문이다.

중국 외교부는 이날 오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중·일 외교장관 회담 내용에 따르면 왕이 부장은 “중·일 관계가 반복적으로 곤경에 부딪히는 문제의 근원에는 일본의 역사와 대중 인식의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관계개선을 위한 정치·대중인식·경제·국제사무에 대한 이른바 ‘네 가지 희망·요구사항’도 제시했다. 이 요구에는 ▲일본은 성실하게 역사를 반성한다 ▲적극적이고 건강하게 중국의 발전을 다루며 ‘중국 위협론’이나 ‘중국 경제 쇠퇴론’을 퍼뜨리지 않는다 ▲경제면에서 중국을 대등하게 취급하고 호혜를 바탕으로 각 영역의 협력을 추진한다 ▲국제·지역 협력에서 중국에 대한 대항심을 버린다는 내용이 담겼다. 일본의 역사 역주행과 중국견제 행보를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왕 부장은 회담 모두발언에서도 “당신이 진심과 성의를 갖고 중국에 온 것이라면 환영한다. 그러나 중국에는 ‘말을 듣고, 행동을 본다(聽其言, 觀其行)’는 속담이 있다”고 지적했다.

중·일 양국은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에서의 영토 문제, 일본의 새 역사 교과서가 난징대학살을 축소 기재하는 등의 역사 문제에서 갈등을 이어왔다.

일본 외무장관이 국제회의를 제외하고 중국을 방문하기는 4년만이다. 이번 회담은 오찬을 포함해 4시간 넘게 진행됐지만 입장차를 좁히는 데 실패하면서 가시적인 성과는 도출하지 못했다.

올해 일본에서 열릴 예정인 한·중·일 정상회의, 중·일 고위급 경제대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항저우(杭州)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9월) 참석 등을 추진 중인 일본으로서는 중국의 호응을 필요로 하지만 역사와 영토 문제로 양국간의 이견은 좁혀지지 않았다.

기시다 외무상은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과 만난 자리에서 이번 회담의 긍정적인 측면을 부각시켰다. 그는 “양국이 이번 회담에서 갈등을 피하고 정치적 관계개선의 속도를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면서 “중국 측은 두 나라가 협력파트너로 상호위협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도 확인했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