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침략’ 규정 거부하며 러시아 두둔…신냉전 속 밀월 강화하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오른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4일 베이징에서 정상회담을 하기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베이징|AP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오른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4일 베이징에서 정상회담을 하기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베이징|AP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판에도 중국은 “합리적 안보 우려를 이해한다”며 러시아를 두둔하고 나섰다. 국제사회의 제재 속에서 중국이 러시아에 경제적 탈출구를 제공하고 밀월 관계를 강화함으로써 미·중, 미·러 갈등이 중국·러시아 대 서방국가의 갈등으로 확대되며 ‘신냉전의 그림자’가 짙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지난 24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의 통화에서 “러시아의 합리적인 안보 우려를 이해한다”고 말했다고 중국 외교부가 25일 전했다. 왕 부장은 “중국은 일관해서 각국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존중한다”면서도 “동시에 우리는 우크라이나 문제에 복잡하고 특수한 역사적 경위가 있다는 것을 주시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전 권리를 인정하면서도 사실상 러시아 편을 든 셈이다. 국제사회가 일제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고 있는 가운데 준동맹 수준의 관계를 형성해 온 중국이 러시아의 행동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모양새가 된 것이다.

중국은 기본적으로 러시아의 침공이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의 동진과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압박 때문이라는 시각을 갖고 있다. 러시아가 미국 등 서방국가의 전방위적 압력에 직면한 중국과 ‘동병상련’의 처지에 있다고 보는 것이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4일 정상회담을 갖고 나토의 추가 확장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폐쇄적 안보블록에 반대한다는 공동성명을 발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중국은 이런 입장에서 러시아의 무력 사용을 ‘침략’으로 보는 시각에도 동의하지 않는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의 침공을 ‘침략 전쟁’으로 규정했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푸틴은 침략자”라고 비판했다. 하지만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러시아의 행동을 ‘침략’으로 보느냐는 계속된 질문에 답변을 회피하면서 “미국은 계속 한동안 계속 긴장을 고조시키고 전쟁을 부추겼다. 그동안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얼마나 많은 무기와 탄약을 보냈는지 아느냐”고 반문했다.

중국 관영매체는 더 노골적으로 러시아 편에서 미국 탓을 했다. 글로벌타임스는 이날 우크라이나 상황을 전하며 “미국이 나토를 러시아 문 앞까지 확대하고 러시아를 집중 견제하면서 러시아의 자체 안보 보장 의지가 군사적 충돌로 이어졌다”며 “긴장이 더 악화되는 것을 막으려면 유럽 국가들이 러시아의 합리적이고 정당한 안보 우려를 고려하고 미국에 노선 변경을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중국은 러시아의 입장에 동조하면서도 대외적으로는 ‘중립노선’을 표방하며 러시아를 공개적으로 지지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자오통 카네기국제평화기금 선임연구원은 CNBC에 “중국은 분명히 러시아의 관점에 동조하지만 공식적인 성명에서는 매우 신중했다”며 “자체 안보와 대만 관계에서 갖는 함의 등을 감안할 때 중국이 러시아의 행동을 공개 지지하기는 어렵고, 러시아가 국제적 비난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그 축의 일부로 비춰지는 것을 피하고 싶어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대신 득실 계산을 하며 러시아와의 경제적 관계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간접 지원할 공산이 크다. 지난 4일 양국 정상회담을 계기로 러시아 국영 가스기업 가즈프롬과 중국석유천연가스공사가 30년간의 장기 천연가스 공급 계약을 체결한 것도 이런 사전 포석의 일환이다. 중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인 지난 23일을 기해 그동안 러시아 일부 지역 생산분으로 한정했던 밀 수입을 러시아 전역으로 확대하기도 했다. 루샹(陸翔) 중국사회과학원 선임연구원은 “국제 관계가 어떻게 변하든 중국과 러시아의 협력은 지장받지 않을 것이며 중국은 러시아 에너지의 최대 수입국이 될 수 있다”며 “중국은 러시아가 경제를 유지하는 데 기꺼이 도움을 줄 것이며 그러는 동안 유럽과 대화를 유지하며 리스크를 완화할 것”이라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말했다.

러시아에 대한 중국의 경제적 지원은 국제사회의 제재를 무디게 만들 수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러시아에 대한 전면적인 제재를 예고하며 “푸틴은 국제무대에서 왕따로 남을 것”이라고 자신했지만 중국이 러시아의 피난처가 될 수 있다. 이럴 경우 미국 등 서방국가가 중국에 2차 제재를 가하면서 전선이 중국·러시아 대 서방국가간 신냉전 구도로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출신 전문가인 애런 아놀드는 포린폴리시 기고문에서 “중국과 러시아가 석유·가스분야를 포함한 광범위한 경제협력 계획을 발표한 타이밍은 결코 우연이 아니고, 최소한 단기적 측면에서 러시아의 제재 타격을 줄일 수 있다”며 “미국은 중국에 2차 제재를 가하는 것을 포함해 러시아가 제재를 피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차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