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프로스 ‘통일투표’진통

2004.04.01 18:54

30년간 남북분단 상태인 지중해의 섬 키프로스가 오는 24일 통일을 위한 국민투표를 앞두고 진통을 겪고 있다.

유엔의 코피 아난 사무총장은 지난달 31일 북키프로스(터키계)와 키프로스공화국(그리스계)의 통일을 위한 마지막 중재안으로 국민투표 방안을 제시했다. 5월 있을 유럽연합(EU) 가입 전까지 키프로스의 통일이 성사되지 않으면 북키프로스를 제외한 남쪽의 키프로스공화국만 EU의 일원이 된다. 터키는 유일하게 북키프로스를 국가로 인정하고 있다.

키프로스는 1960년 영국에서 독립한 인구 80만의 섬이다. 다수 그리스계(2000년 현재 85%)와 소수 터키계(12%)가 갈등해왔다. 그러다 74년 당시 그리스 군사정권이 지원한 쿠데타가 발생하자 이웃 터키가 군대를 보내면서 남북으로 갈라졌다.

올해 초 아난 총장은 키프로스를 스위스식 연방제 중앙정부 형태로 통일시키는 ‘아난 안(案)’을 제시했다. 정부가 국방·외교·경제를 관장하고 두 주 정부는 강력한 자치권을 행사하는 방식이다. 24일로 예정된 국민투표는 양측 대표들의 통일협상이 합의에 이르지 못한 데 따른 것으로 두 지역에서 동시에 실시된다.

터키는 통일을 적극 지지하는 입장이다. 수십년에 걸친 무역제재에 따라 악화된 이곳 경제가 통일 및 자신들의 EU 가입 효과로 살아날 것으로 기대된다. EU 가입을 갈망하는 터키는 이번 분쟁 해결노력이 ‘가산점’으로 인정받길 바라고 있다. 그러나 ‘아난 안’을 처음부터 거부해왔던 북키프로스의 라우프 덴크타쉬 대통령은 1일 “유엔의 중재안이 만족스럽지 않다”면서 거부 의사를 밝혀 국민투표가 순탄하게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그는 강경한 키프로스 관련 정책으로 국민들의 반발을 사고 있는 상태다.

키프로스공화국 및 그리스는 ‘아난 안’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미해결된 ▲북부에 주둔중인 4만 터키군의 철군 ▲남부로 쫓겨온 그리스계 난민들의 북부지역으로의 귀환 ▲영토 재조정 등 문제가 별로 만족스럽지 않기 때문이다. 터키 앙카라 대학의 정치전문가 도구 에르길은 “이번 통일의 실질적 수혜자는 북키프로스”라면서 “키프로스공화국측이 국민투표에서 통일을 반대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번 통일 기회가 물 건너갈 경우 다시 통일 기회가 돌아오기까지는 수십년이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민영기자〉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