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 "한·일, 도쿄올림픽 맞춰 ‘올림픽 휴전’" 제안

2019.12.01 21:13 입력 2019.12.01 21:42 수정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가 지난 8월13일 서울 중구 ‘순화동천’에서 경향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순화동천은 도서출판 한길사가 운영하고 있는 인문예술공간이다. 김정근 선임기자 joengk@kyunghyang.com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가 지난 8월13일 서울 중구 ‘순화동천’에서 경향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순화동천은 도서출판 한길사가 운영하고 있는 인문예술공간이다. 김정근 선임기자 joengk@kyunghyang.com

일본의 대표적인 비판적 지성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가 내년 도쿄올림픽·패럴림픽 개최에 맞춰 한·일 양국이 ‘올림픽 휴전’에 들어가자고 1일 말했다.

와다 명예교수는 이날 도쿄 일본교육회관에서 열린 ‘한·일 관계 개선의 길’이라는 토론회에서 기조 발제를 통해 이같이 제안했다. 와다 교수는 그간 여러 차례 ‘올림픽 휴전’을 거론했다. 그러나 이달 하순 중국 청두에서 예정된 한·중·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열릴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간 회담을 앞두고 거듭 제안한 것이라서 회담 결과에 반영될지 주목된다.

와다 교수는 바닥을 쳤던 양국 관계가 개선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한국 정부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종료를 유예한 사례를 꼽았다. 그는 “일본 정부의 기본 자세가 변한 것은 아니지만 대화와 협의를 시작한다는 입장은 확인되고 있다”고 말했다.

와다 교수는 양국 간 갈등의 근원인 한국 강제 징용 노동자 배상 문제를 두고 “한국대법원 판결에 담긴 강제동원 피해자 구제의 강한 염원을 받아들여 1965년 한·일조약의 보완 방안을 모색하는 등 새로운 해결방안을 추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관련해선 2015년 12월 한·일 합의에 따른 시행 내용을 공개하고, 양국 정부 간 합의를 통해 일본의 출연금 중 남은 돈으로 위안부·전시 성폭력 연구기관을 설립하는 안을 제시했다.

와다 교수는 다만 “양국이 합의를 이끌어 내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면서 “사태가 더 악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양국이 ‘올림픽 휴전’을 선언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둔 2017년 11월 한국 정부 주도로 동북아 지역의 평화 조성 의지를 담은 유엔 결의가 채택돼 북·미 간 대립을 완화한 적이 있다며 한·일 계를 악화시킬 수 있는 일체 조치를 내년 하계 도쿄올림픽 기간까지 동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