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는 나가라” 연이은 쿠데타·시위…프랑스는 왜 아프리카에서 실패했나

2023.09.03 16:14 입력 2023.09.03 21:15 수정

니아메 수도 니아메에서 2일(현지시간) 수천명이 프랑스군 기지 앞에 모여 “프랑스군은 니제르를 떠나라”고 촉구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니아메 수도 니아메에서 2일(현지시간) 수천명이 프랑스군 기지 앞에 모여 “프랑스군은 니제르를 떠나라”고 촉구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니제르에서 쿠데타 이후 가장 큰 규모의 반프랑스 시위가 열렸다.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았던 아프리카 국가에서 연이어 쿠데타가 발생하고 반프랑스 감정이 터져 나오는 배경으로는 현지 민중의 민주주의 염원을 과소평가한 프랑스의 실책이 꼽힌다.

2일(현지시간) 알자지라·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니제르 수도 니아메의 프랑스군 기지 인근에서는 프랑스군의 퇴출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열렸다. 이번 시위는 애초 오후 3시에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오전 10시쯤 이미 수천명이 모여 지난 7월26일 쿠데타 이후 니제르에서 벌어진 가장 큰 규모의 반프랑스 시위로 파악됐다.

이전까지의 반프랑스·군부 지지 시위는 비교적 온건했던 반면 이번에는 군경이 세운 방어벽을 무너뜨리고 진입하려는 모습도 목격됐다. 시위대는 “프랑스군은 니제르를 떠나라”고 적힌 팻말을 들었으며, 프랑스 국기를 두른 관을 들고 다니거나 프랑스 국기색 옷을 입은 염소의 목을 자르기도 했다. 한 시위 참가자는 “프랑스는 우리 자원을 약탈했다. 그들은 쫓겨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참가자는 “니제르의 모든 프랑스 군사 기지를 없애기 위해 싸울 것이다. 그들은 테러리즘에 맞서 싸우는 데에 관심이 없다”고 말했다.

최근 니제르에서는 프랑스가 니제르 군부의 명령을 무시하면서 반프랑스 감정이 더욱 고조됐다. 과거 프랑스 식민지였던 니제르에는 프랑스 병력 약 1500명이 주둔하고 있다. 지난달 3일 군부는 프랑스와의 군사협정을 파기한다고 발표했는데, 프랑스는 적법하지 않다며 응하지 않았다. 군부는 최근 니제르 주재 프랑스 대사에도 추방령을 내리고 48시간 내 출국하라고 통보했으나 프랑스 측은 외교관 특권을 내세우며 따르지 않고 있다.

한 남성이 2일(현지시간) 니제르 니아메에서 열린 반프랑스 시위에서 프랑스군의 퇴출을 요구하는 팻말과 니제르 국기를 들고 있다. AFP연합뉴스

한 남성이 2일(현지시간) 니제르 니아메에서 열린 반프랑스 시위에서 프랑스군의 퇴출을 요구하는 팻말과 니제르 국기를 들고 있다. AFP연합뉴스

오히려 프랑스는 군부가 축출한 모하메드 바줌 대통령을 지지하는 메시지를 지속해서 내고 있다. 최근에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우리가 내릴 어떤 결정도 바줌 대통령과의 논의를 바탕으로 할 것”이라고 밝혔다. 니제르 군부는 “프랑스가 내정에 심각하게 간섭하고 있으며 니제르를 분열시키고 있다. 과거의 식민지-피식민지 관계를 강요하려 한다”고 비난했다.

이날 니제르에서 벌어진 시위는 프랑스의 아프리카 전략이 실패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마크롱 대통령은 2017년 취임하면서 “아프리카와의 관계를 재설정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최근 3년 동안 프랑스는 옛 프랑스 식민지였던 아프리카 6개국과의 관계를 잃었다. 말리, 차드, 부르키나파소, 기니, 니제르 등에서 쿠데타가 이어졌으며 최근엔 가봉에서마저 군부가 정권을 전복했다.

아프리카 주재 한 프랑스 외교관은 “가봉 쿠데타는 프랑스의 아프리카 대륙 접근 방식에 대해 조용한 재평가를 촉발했다”고 블룸버그에 전했다. 실제 비교적 안정적인 정치적 환경을 갖춘 영미권 아프리카 지역과 달리 프랑스어권 아프리카에서는 서구식 민주주의가 확고한 기반을 갖지 못해 불안정한 상황이이어지고 있다고 도이체벨레(DW)는 지적했다.

프랑스의 아프리카 전략이 실패한 원인으로는 민주주의 열망을 과소평가한 점이 꼽힌다. 프랑스는 정권의 투명성보다는 안정성을 선호했는데, 이것이 독재와 권위주의를 키웠다는 것이다. 라만 이드리사 라이덴대학 연구원은 “프랑스는 이들 지역 국민의 민주주의에 대한 갈망을 고려하지 않았다. 그래서 독재자와 폭군을 계속 지원하거나 용인했다”고 지적했다. 프랑스가 이들 국가에서 벌인 반테러 활동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것에 대한 대중의 반감도 한몫 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DW는 옛 프랑스 식민지역의 고질적인 빈곤도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프랑스의 과거 식민 지배를 상징하는 서아프리카 지역 공용화폐 ‘세파(CFA)프랑’은 서아프리카 국가들의 오랜 염원에도 불구하고 2020년이 돼서야 사용이 종료됐다. 세파프랑은 아프리카 지역 경제가 프랑스에 종속되는 원인으로 지적돼 왔다. 서아프리카 국가들 사이에서는 세파프랑을 이용해 이 지역에 활발히 진출한 프랑스 기업들이 자국의 천연자원을 착취하고 있다는 분노가 쌓여왔다.

누적된 반프랑스 정서가 쿠데타로 분출되면서 프랑스는 ‘아프리카에서의 영향력 축소’라는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프랑스군은 이미 말리와 부르키나파소에서 철수한 상태다. 각국 쿠데타 군부는 사회 전반에 넓게 퍼진 반프랑스 감정을 국민적 지지 확장의 지렛대로 삼고 있는 모양새다.

니아메에서 활동하는 한 분석가는 “니제르 군부로선 프랑스 대사를 떠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지지자들에게 약하게 보일 것이기 때문”이라며 “이번 위기를 외교적으로 처리하지 않는다면 양측 간 충돌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고 전망했다.

니제르 군부를 지지하는 이들이 1일(현지시간) 니아메에서 열린 반프랑스 시위에서 프랑스 국기를 뭉개고 있다. AFP연합뉴스

니제르 군부를 지지하는 이들이 1일(현지시간) 니아메에서 열린 반프랑스 시위에서 프랑스 국기를 뭉개고 있다. AFP연합뉴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