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협상 시한 하루 더 연장

2015.04.01 04:56 입력 2015.04.01 06:15 수정

미국과 이란이 핵협상 시한을 3월31일에서 하루 더 연장해 4월1일까지 타결하기로 했다고 국무부가 31일 밝혔다.

마리 하프 국무부 대변인 대행은 이날 성명에서 “몇가지 까다로운 문제들이 아직 남았다”면서 “우리는 수요일(4월1일)까지 머무르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할 정도로 지난 며칠간 충분한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다.

AFP 통신은 “러시아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이 협상에 복귀한 이후 협상에 진전이 있었지만 사안의 복잡함과 이번이 이 문제를 다룰 마지막 시점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속도가 매우 늦은 편이며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는 이란 측 인사의 말을 전했다.

지난 26일부터 무하마드 자리프 이란 외교장관과 스위스 로잔에서 회담을 가져온 존 케리 국무장관도 1일까지 현장을 떠나지 않기로 했다. CNN 방송은 “협상 타결을 위해 나쁘지 않은 신호”라고 보도했다.

미국을 비롯한 5개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과 독일, 유럽연합은 이란의 우라늄농축 원심분리기 가동 능력을 축소하는 대신 10~15년에 걸쳐 대이란 제재를 해제하는 내용의 기본 틀을 마련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제재 해제의 속도와 시점 등에 대한 이견을 완전히 좁히지 못한 상태이다.

3월31일로 정해진 이란 핵협상의 시한은 참가국들이 임의로 정한 것으로 구속력은 없다. 미국과 이란은 2012년부터 1년여의 비밀협상을 통해 2013년 11월 이란이 핵물질 생산을 중단하는 대신 경제제재를 일부 해제하기로 하는 잠정합의를 도출하고 최종합의를 만들기 위해 협상해왔다. 하지만 이란에 허용할 원심분리기 갯수 등 핵심현안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해 지난해 7월로 예정된 시한을 1년 뒤인 올해 7월까지 연기했다. 하지만 미 의회가 대이란 추가 경제제재 법안을 처리하겠다고 압박하자 참가국들은 3월 말까지 합의를 도출하겠다며 협상을 벌여왔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