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대통령 헬기 추락사고 조사결과 “총격 같은 것 없었다”···힘 잃는 음모론

2024.05.24 17:14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 AP연합뉴스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 AP연합뉴스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 일행을 태우고 가다 추락한 헬기에 총격 흔적은 없었다는 이란군 총참모부 발표가 23일(현지시간) 나왔다.

이란군 총참모부가 이날 공개한 조사위원회의 1차 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라이시 대통령이 탑승했다가 추락한 헬기에서 총탄과 같은 의심스러운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아랍권 언론인 알마야딘 등 외신은 보도했다.

조사 결과 총참모부는 사고 헬기가 추락 전 예정된 항로를 비행하고 있었으며 추락 전까지 항로 이탈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추락 1분 30초쯤 전 사고 헬기 조종사가 같이 비행하던 다른 2대의 헬기 조종사들과 무전 교신은 했으나 대화 내용에는 특이사항이 없었다고도 했다. 또한 추락 헬기 잔해에서 총탄 등과 같은 의심스러운 물건도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총참모부는 사고 헬기는 추락해 언덕에 충돌하면서 불길에 휩싸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총참모부는 안개와 낮은 온도 등으로 인해 사고기 수색작업이 밤새워 진행됐다며 결국 20일 오전 5시쯤 드론을 통해 사고기를 찾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와 기술자 등으로 구성된 조사위원회는 20일 아침 사고 현장에 도착해 조사를 시작했다.

이는 ‘외력설’을 포함해 라이시 대통령의 헬기 사고와 관련한 각종 의혹을 사실상 반증하는 내용이다. 앞서 이란 안팎에서는 이스라엘이 헬기 추락의 배후에 있다는 등 각종 ‘음모론’이 등장한 바 있다. 라이시 대통령은 재임 기간 이스라엘과 폭격을 주고받으며 정면충돌한 것은 물론, ‘테헤란의 도살자’로 불릴 만큼 정치적 반대파 척살을 주도해 자국 안팎에 적이 많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이코노미스트는 사고 초기부터 “국가원수 암살은 이란의 강경 대응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는 명백한 전쟁 행위이고, 이스라엘은 지금까지 한 번도 국가원수를 암살한 적이 없었다”며 “(국내 2인자로서) 사실상 주요 정책 결정권을 갖고 있지도 않은 데다 극도로 인기가 없는 정치인 라이시를 죽이는 건 어리석은 일”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최근 로이터통신은 이스라엘 당국자가 “이스라엘은 라이시 대통령을 죽음에 이르게 한 헬기 추락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란 당국을 포함한 다수는 라이시 대통령이 탔던 헬기 사고에 노후 기체와 악천후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라이시 대통령은 지난 19일(현지시간) 동아제르바이잔주 바르즈건 지역에서 열린 댐 준공식에 참석한 뒤 탑승한 헬기가 산악지대에 추락하면서 다른 탑승자들과 함께 사망했다. AP에 따르면 라이시 대통령을 포함한 사고 사망자들은 시아파 성지인 이맘 레자의 묘 옆에 안장됐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