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대선여세 몰아 과반압승 하자”

2008.01.01 18:19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는 1일 한나라당 신년인사회에서 “(대선에서) 540만표를 더 받은 것은 정말 국민에게 감사할 일”이라며 “그런 지지가 4월 총선에서도 또 한번 받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쁨은 잠시였고, 두려운 마음을 갖고 있다. 총선에서 안정적 의석을 얻도록 저도 협조하겠다”고도 했다.

이 당선자가 4월 총선에 걸고 있는 기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다. ‘이명박정부’의 초기 성패가 새정부 출범과 함께 이뤄질 이번 총선 결과에 달려다 해도 과언이 아닌 상황이기 때문이다.

목표대로 ‘안정적 과반’을 달성할 경우 출자총액제한제 폐지, 금산분리·종부세법 완화, 한반도대운하 추진 등 ‘보수 개혁’의 동력이 마련된다. 반면 실패할 경우 “여소 야대 하에선 (대통령이) 국민들의 기대만 받고 일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이방호 사무총장)는 우려대로 향후 국정은 험난한 ‘가시밭길’이 될 수밖에 없다.

대선 승리의 탄력과 신당의 지리멸렬로 50%대의 당 지지도가 유지되는 상황을 감안하면 전망은 나쁘지 않다. “국민을 섬기는 정부”라며 당 안팎에 거듭 낮은 자세를 주문하는 것도 이런 흐름을 이어가려는 의도와 무관치 않다.

문제는 필연적으로 불거질 수밖에 없는 ‘계파 갈등’이다. 지역구마다 친이명박·친박근혜 인사들이 맞붙어 경쟁을 벌이는 현실을 감안하면 총선 공천은 양측 갈등이 임계점에 이르는 지점이 될 전망이다.

자칫 공천 탈락자들이 대거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분열로 이어질 경우 ‘이 당선자’의 독주에 대한 견제심리가 발동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더구나 등 뒤에 도사린 이회창 전 총재의 보수 신당도 개운치 않다.

이당선자측이 “공천심사위를 1월말 이후에 꾸려야 한다”면서 최대한 공천 시기를 늦추려는 것도 후유증을 최소화하려는 의도다.

청와대 정무수석 부활 등 ‘당·청 일체화’론은 또 하나의 해법이다. 당에 대한 장악력도 높여 최대한 이탈을 막겠다는 전략이다. 그 점에서 청와대 비서실장 인사에서도 당내 문제를 풀어갈 정치력 있는 인사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김광호·이고은기자〉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