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3자 회동

야당 대표의 ‘무덤’… 문재인 대표는 비켜갔나

2015.03.17 22:01 입력 2015.03.17 22:09 수정

박 대통령 취임 후 세 차례

다른 대표들은 ‘빈손’ 귀환

박근혜 대통령 취임 이후 야당 지도부의 ‘청와대 회동’은 야당 대표의 ‘무덤’이었다. 뚜렷한 성과는 거두지 못한 채 박 대통령 ‘소통’ 모양새의 들러리 역할로 그친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17일 청와대 ‘3자 회동’을 앞두고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에게 이목이 집중된 이유다.

결론적으로 문 대표의 이날 ‘3자 회동’ 무대 데뷔는 앞선 전임자들과 달리 일단 ‘무난하다’는 나쁘지 않은 평가를 받게 됐다. 세부적 합의를 만들지는 못했지만, ‘3자 회동’ 정례화 여지를 남기고, ‘결과문’도 도출했기 때문이다. 최저임금 등 일부 야당의 의제들을 전달하고, 공감대를 마련하기도 했다. 전임자들처럼 ‘빈손 회동’으로는 끝나지 않은 것이다.

문 대표 스스로도 “많은 부분은 의견이 달랐다. 한 술 밥에 배부를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힌 것처럼 아쉬움은 남지만, 이제 청와대와 야당 간 소통의 ‘시작’ 토대는 마련한 셈이다.

앞서 2013년 4월 민주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박 대통령 취임 후 첫 청와대 회동에서 뚜렷한 성과를 얻지 못했다. 박 대통령이 초기 인사 난맥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지만,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 지명 철회 등 야당 측 입장은 일절 반영되지 않았다.

같은 해 9월 국가정보원 대선개입 사건으로 노숙투쟁을 벌이던 민주당 김한길 대표도 양복을 차려입고 국회 사랑재에서 박 대통령과의 회담에 임했다. 하지만 90여분간 회동에선 서로 입장차만 확인한 채 냉랭하게 돌아섰다. 지난해 7월 원내대표 자격으로 박 대통령과의 회담에 들어갔던 새정치연합 박영선 의원은 ‘첫 여성 대통령·원내대표 회동’으로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세월호 참사 관련 사안과 인사 문제 등에 대해 박 원내대표 주장을 박 대통령이 듣는 데만 그쳤다.

이후 다시 새정치연합 지휘봉을 잡은 문희상 비대위원장은 지난해 10월 새해 예산안 시정연설 직후 국회에서 박 대통령을 1시간가량 만났다. 15개항의 합의문을 냈지만, 합의라고 할 만한 내용은 없었다. 같은 해 11월 문 비대위원장은 청와대 초청을 거절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