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해외서 놀림감 된 한국의 장시간 노동, 계속 줄여나가야

2023.03.19 20:40 입력 2023.03.19 23:10 수정

미국 워싱턴포스트가 17일(현지시간) “한국 정부가 주 69시간제 도입 결정을 재검토할 방침”이라며 청년층의 반발을 소개했다. 현행 주 52시간제에서도 주 70시간 이상 일하는 초과근로자나 보상 없이 빈번히 잔업한다는 노동자 사례를 전하고, 주 69시간제 정책이 분노의 촉발제가 됐다고 분석했다. 신문은 장시간 노동이 “저출생 극복 방향과 맞지 않고, 자랑이 아니다”라는 전문가의 비판도 전했다. 앞서 호주 ABC 방송도 “(정부가 주 69시간제를 꺼내든) 한국 노동문화 속에 ‘Kwarosa(과로사)’라는 말이 있다”며 극심한 노동을 하다 심부전·뇌졸중으로 돌연사하는 걸 일컫는다고 부연했다. 윤석열 정부의 노동시간 연장 정책이 세계적인 놀림거리가 된 것이다.

열악한 노동환경은 19일 ‘직장인 80.6%가 법정 연차휴가 15일도 다 쓰지 못한다’는 직장갑질119의 실태조사 결과에서도 확인된다. 6일 미만 사용자가 41.5%로 가장 많고, 연차를 자유롭게 쓴다는 이는 일반사원급(32%)·비정규직 노동자(32.8%)·20대(37.5%)·30대(35%)에서 특히 낮았다. 이유로는 동료 업무부담(28.2%)과 연차 사용이 어려운 조직문화(16.2%)가 1·2위로 꼽혔다. 저연차 직장인이나 노조 없는 86% 사업장에선 법정휴가도 제대로 못 간다는 노동계 지적이 숫자로 재확인됐다.

연차휴가는 법이 노동자에게 보장한 권리다. 그런데 노동자들은 회사·상사 눈치를 보느라 이 기본적인 권리조차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주 69시간을 글로벌 스탠더드라고 하지만, 1일·1주 단위로 노동시간을 엄격히 제한하는 세계에선 유례가 없다. 한국 노동자들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보다 39일 더 일하는 구조는 이렇게 만들어졌다. 윤석열 정부는 이 격차를 줄이기는커녕 거꾸로 가고 있다.

윤 대통령이 뒤늦게 “주 60시간 노동은 무리”라며 적절한 상한선을 두라고 정부에 지시했다. 그러면 주 60시간은 짧은가. 직장갑질119는 “주 60시간은 주 5일 내내 밤 11시 퇴근하거나 주 6일간 밤 9시 퇴근해야 한다”며 이 역시 과로사회로 가는 길이라고 했다. 법정휴가도 다 못 쓰는 나라에서 노동자의 노동시간 선택권·건강권·휴게권은 그림의 떡이다. 정부는 노동시간보다 생산성을 늘리고, 추가 고용을 장려·지원하는 일자리 정책을 짜야 한다. 정부는 노동정책의 기조를 바꿔 장시간 노동을 줄여야 한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