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산책

‘남이사’는 주야장천 쓰지 말아야 한다

2023.03.20 03:00 입력 2023.03.20 03:04 수정

우리말 중에는 사람들이 많이 쓰지만 아직 표준어로 인정받지 못한 것들이 많다. “너는 주구장창 신세 타령만 하냐” 따위 표현에 쓰는 ‘주구장창’도 그중 하나다. ‘주구장창’의 바른말은 주야장천(晝夜長川)이다. “밤낮으로 길게 이어진 내”라는 한자의 뜻 그대로 “밤낮으로 쉬지 아니하고 연달아”를 의미한다. 하지만 실생활에서 ‘주야장천’을 쓰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럼에도 국립국어원은 ‘주구장창’의 규범 표기를 ‘주야장천’으로 삼고 있다.

사람들이 너나없이 쓰지만 어원을 알 수 없는 ‘주구장창’과 어원은 분명하지만 쓰는 사람이 거의 없는 ‘주야장천’. 이럴 때는 어떤 말을 표준어로 삼는 것이 옳은지 참 헷갈린다. ‘주구장창’처럼 우리말에는 사람들이 입에 자주 올리지만 표준어로 인정받지 못한 말들이 적지 않다. 이런 말을 가리켜 흔히 ‘입말’이라고 한다. “남이사 옷을 어떻게 입고 다니든 웬 상관이야” 따위 문장에서 보이는 ‘남이사’도 입말 중 하나다.

‘남이사’와 관련해 ‘남의 사(事)’가 변한 말이라는 주장도 있다. ‘사’는 “일”이라는 뜻으로, “남의 일에 왜 끼어드느냐”를 줄여서 ‘남의 사’라고 부르던 것이 발음하기 편한 ‘남이사’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꽤 그럴싸하게 들린다.

하지만 옛날에 양반님네보다는 일반 백성들이 더 널리 사용했을 이 말이 ‘남의 事’ 꼴로 쓰였다는 것은 조금 억측으로 보인다. 또 ‘일’이라는 말을 썼다면 ‘남의 일이야’보다 ‘내 일이야’로 하는 것이 우리말의 사용법에 더 적합하다.

따라서 ‘남이사’는 ‘남의 사’가 변한 말이 아니라 ‘남이야’의 사투리로 보는 것이 좀 더 타당하다. “남이야 뭐를 하든, 네가 무슨 상관이야”라며 쓰는 ‘남이야’ 말이다. 실제로 경상도와 전라도에서는 ‘-야’를 ‘-사’로 소리 내는 경우가 더러 있다. “이제야 왔다”를 “이제사 왔다”로 쓰고, ‘그제야’를 ‘그제사’로도 쓴다.

아무튼 ‘남이사’ ‘이제사’ ‘그제사’ 등은 사람들이 많이 쓰지만 표준어가 아니다. ‘남이야’ ‘이제야’ ‘그제야’ 등으로 써야 한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