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축유 방출에도 산유국 증산 미적…러 제재 겹쳐 수급 불균형 우려 확산

2022.04.17 22:18 입력 2022.04.17 22:21 수정

주춤했던 국제 유가, 다시 오르는 까닭

[뉴스분석]비축유 방출에도 산유국 증산 미적…러 제재 겹쳐 수급 불균형 우려 확산

WTI 배럴당 100달러대 재진입
러와 유대 OPEC도 증산엔 부담
결국엔 미봉책 된 비축유 방출

국내 휘발유값도 상승 가능성
유류세 인하 효과, 체감 힘들 듯

미국 등 주요 석유 소비국 모임인 국제에너지기구(IEA)의 비축유 방출로 잠시 떨어졌던 국제유가가 다시 오르고 있다. 산유국들이 증산에 미온적인 상황에서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유럽연합(EU)의 제재 현실화로 수급 불균형 우려가 더욱 커졌기 때문이다. 잠시 주춤했던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 가격도 다시 상승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아졌다.

17일 한국석유공사 석유정보사이트 페트로넷을 보면 지난 11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배럴당 94.29달러까지 떨어졌던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꾸준히 올라 14일에는 106.95달러에 거래됐다. 지난 7일 IEA 회원국이 1억2000만배럴의 비축유를 방출했음에도 ‘반짝 효과’에 그친 것이다.

오재영 KB증권 연구원은 “전략비축유 방출은 그만큼 보유 재고가 줄어드는 것으로, 이후 재고를 다시 늘려야 하는 점을 감안하면 중장기 수급 개선책으로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비축유 효과’ 반감은 예고된 결과였다. S&P글로벌에 따르면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플러스(OPEC+)의 3월 원유 생산량은 1년여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국제사회의 경제 제재로 줄어든 러시아의 원유 생산량을 산유국들이 채우지 못한 영향이 컸다. 여기에 EU가 러시아산 원유 수입금지를 구체적으로 검토하면서 수급 불균형에 대한 불안 심리는 확산되고 있다. OPEC은 러시아 원유 공급 감소분을 대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강조하며 추가 증산 불가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IEA와 OPEC의 줄다리기는 그동안 반복돼왔다. 중동 산유국의 석유 수출금지로 촉발된 제1차 오일쇼크 이후, 공동 대응 필요성을 느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이 주도해 설립한 IEA는 석유시장 안정화를 목표하고 있다. IEA는 시장이 흔들릴 때마다 비축유를 방출했다.

반면 OPEC은 지정학적 문제로 발생한 가격 급등에 대해서는 대응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수급 이외 요인에 대응했다가 자칫 ‘유가 하락’이라는 달갑지 않은 결과가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OPEC과 러시아의 끈끈한 관계도 증산을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OPEC은 2014년 배럴당 100달러를 넘었던 국제유가가 2016년 30달러대까지 폭락하자 러시아 등과 감산 공제 체제를 꾸렸다. 조상범 대한석유협회 대외협력실장은 “친미 성향의 사우디아라비조차 유가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자 미국이 셰일오일 생산량을 늘리는 것에 맞서 러시아와 손을 잡았다”며 “5년 넘게 러시아와 관계를 유지해온 만큼 증산에 나서기 힘들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넷째주 ℓ당 2001.9원이던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지난주에는 1977.2원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국제유가 고공행진이 지속된다면 다음달 1일부터 본격 시행되는 유류세 인하 효과가 줄어드는 것은 물론, 물가 상승 압력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전기요금 급등에 따른 취약계층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력산업기반기금을 활용하고 전력시장 내에서 재생에너지가 화석에너지 발전을 대체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