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줄이는 1·2월에… 주택담보 ‘작년 8배’ 폭증세

2015.03.01 21:15 입력 2015.03.01 22:01 수정

매매·사업·생활자금 수요 많아

비수도권 집값 ‘거품주의보’도

지난 1~2월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이 지난해의 8배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가계대출이 감소하는 연초임에도 이례적인 폭증세를 보이고 있어 가계빚 관리에 비상등이 커졌다. 수도권뿐 아니라 비수도권의 주택가격 거품을 우려하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1일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 기업, 외환은행 등 시중은행 7곳의 2월 말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319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316조4519억원보다 3조4481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증가액 4230억원의 8.2배에 달한다.

대출 줄이는 1·2월에… 주택담보 ‘작년 8배’ 폭증세

통상 1월에는 연말 상여금 등으로 대출금을 갚는 사람이 많고 날씨 영향으로 이사 수요도 적어 대출이 감소하지만 올해 1월에는 이례적으로 9613억원 늘었다. 2월에는 설 연휴로 영업일 수가 17일에 그쳤는데도 지난해 증가액 1조1880억원의 2배가 넘는 2조4868억원이 늘었다. 한국은행이 집계한 1월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도 2008년부터 매년 감소해왔지만 올 1월에는 1조4000억원 증가했다.

전셋값이 폭등하면서 매매 수요가 늘어나고, 저금리로 사업자금 및 생활자금 등을 대출받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전셋값 급등을 견디다 못한 세입자들이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아 집을 속속 사고 있다”며 “전세난이 쉽사리 해결될 조짐을 보이지 않는 만큼 올해 주택대출은 지난해보다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5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비수도권에서는 ‘주택가격 거품’을 주의해야 한다는 경고도 나왔다. 지방은 주택담보인정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가 상대적으로 약한 데다 기업과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이 본격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용상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날 발표한 보고서에서 “최근 비수도권의 주택가격 상승세 확대가 주택거품 형성, 가계부채 확대, 구조적 소비위축 가능성을 키울 수 있다”며 “비수도권 주택시장의 조정 없는 상승세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