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유택시 지원’에 에너지업계 희비

2014.01.01 21:30

정유업계, 내수증가 기대 ‘반색’

LPG업계, 매출감소 우려 ‘걱정’

정부가 내년부터 경유 택시에도 유가 보조금을 지원키로 하면서 에너지업계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경유업계는 수요가 늘어 반색하지만 그동안 보조금을 바탕으로 택시 연료시장을 사실상 독점해온 액화석유가스(LPG) 업계는 울상을 짓고 있다.

국회는 지난달 31일 본회의를 열어 경유 택시에도 화물차나 버스 수준의 유가 보조금(ℓ당 345.54원)을 지급하는 내용의 ‘택시운송사업의 발전에 관한 법률(택시발전법)’을 통과시켰다. 현재 LPG 택시에 지급하는 유가 보조금인 ℓ당 221.36원보다 124.18원 많은 금액이다. 정부는 LPG 택시에서 경유 택시로 전환하는 사례가 급증할 것으로 보고 연간 전환 대수를 1만대로 제한했다.

정유업계는 경유 택시 도입이라는 숙원사업을 해결해 반색하고 있다. 경유 판매량이 크게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 자료를 보면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전국 택시는 25만5235대다. 이 가운데 99% 이상이 LPG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정유업계는 그동안 과잉생산되는 정유 때문에 골머리를 앓아왔다. 고도화 설비에 투자해 휘발유와 경유 등 석유제품 생산량이 늘었고 특히 경유는 원유 정제 시 20~30%로 가장 많이 생산된다.

반면 정부가 2000년대에 두 차례 에너지 세제를 개편하며 경유의 세금을 휘발유와 비슷한 수준으로 올리면서 수요가 크게 줄었다. 이 때문에 정유업체들은 경유 생산량의 60%를 수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경유가 LPG보다 연료효율이 높은 데다, 매연 저감기술로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도 대부분 해소됐다”며 “최근 유럽에서 출시되는 신차의 50% 이상이 경유차인 것만 보더라도 경유 배제 정책은 바뀌는 게 맞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내수판매 확대에 긍정적 요인인 것은 맞지만 매년 1만대 수준이면 매출 증대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LPG 업계에는 비상이 걸렸다. LPG 차량은 2010년 245만5696대로 정점을 찍은 뒤 계속 줄어 지난해 243만3367대까지 내려갔다. 난방용 시장을 도시가스에 빼앗긴 상황에서 택시 연료시장은 매출의 20%가량을 차지하는 핵심 수요처였다. 이마저도 빗장이 풀리게 된 것이다.

이에 LPG 업계는 산업통상자원부에 ‘LPG 연료사용 제한 규정’을 완화해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현재 LPG 차량은 택시·장애인·국가유공자 등만 이용할 수 있는데 일반인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규정을 완화하면 LPG 가격 인상은 불가피하다. 이럴 경우 연료 효율이 떨어지는 LPG가 휘발유, 경유와 경쟁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LPG 업계 관계자는 “경유차에 매연 저감장치(DPF)를 달아 대기오염 물질 배출을 낮췄다지만 주행거리가 많은 택시에는 아직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경유 차량은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따지면 LPG 택시가 경제적”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