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임차인 가구, 주거비 부담 더 커졌다

2020.06.01 17:12 입력 2020.06.01 22:23 수정

월소득의 평균 20%를 전·월세로

소득대비임대료율 4년 만에 상승

국토부 “저소득층 주거급여 확대”

수도권 임차인 가구, 주거비 부담 더 커졌다

서울 등 수도권에 거주하는 임차인 가구는 월소득의 평균 20%를 전·월세로 내는 등 다른 지역보다 주거비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생애 첫 내 집 마련까지는 평균 6.9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토교통부는 전국의 표본 6만여 가구를 대상으로 지난해 6~12월까지 진행한 ‘2019년도 주거실태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지난해 전·월세 거주 가구의 임대료 부담은 4년 만에 상승했다. 지난해 전·월세 가구의 ‘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율(RIR)’은 전국 16.1%로 2018년의 15.5%에 비해 상승했다. RIR은 2014년에 20.3%까지 올랐다가 3년 연속 하락하며 2018년 15.5%까지 떨어졌다.

특히 서울 등 수도권 임차인 가구의 거주비 부담이 컸다. 광역시 등은 전년과 같은 16.3%를 보이고, 도 지역은 전년 15.0%에서 12.7%로 떨어진 반면 수도권은 2018년 18.6%에서 지난해 20.0%로 1.4%포인트 올랐다.

무주택자가 생애 최초로 주택을 마련하는 데 소요되는 기간은 6.9년으로, 2018년의 7.1년보다 단축됐다.

내 집 마련 기간은 2010년 8.5년까지 늘었다가 최근 5년간은 7년 내외 수준을 유지 중이다. 무주택 가구의 무주택 기간도 지난해 11.2년으로 2018년(11.9년) 대비 소폭 줄었다.

소득 수준에 비해 집값이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의 경우 지난해 5.4배로 2018년(5.5배)보다 낮아졌다.

PIR은 주택 중위가격을 중위소득으로 나눠 산출한다. 중위소득층이 연소득을 꼬박 5.4년 모아야 중위가격의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 셈이다.

PIR은 집값이 높을수록 올라가 수도권은 6.8배, 광역시 등은 5.5배, 도지역은 3.6배로 집계됐다. 서울의 경우 별도로 PIR이 공개되지 않았다. KB국민은행이 지난달 26일 자체 자료를 통해 산출한 올 1분기 서울지역 PIR은 11.7배다.

내 집에서 사는 가구와 내 집을 마련한 가구 비중은 모두 늘었다. 지난해 주택자가점유율은 58.0%로 전년도의 57.7%에서 소폭 상승했다.

자가보유율도 61.2%로 전년(61.1%) 대비 늘었다. 자가점유·보유율 모두 2006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가구 비율은 5.3%(106만가구)로 전년(5.7%, 111만가구)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지하·반지하·옥탑방에 거주하는 가구도 2018년 37만6000가구(1.9%)에서 지난해 26만5000가구(1.3%)로 줄었고, 1인당 주거면적도 27.3㎡에서 27.9㎡로 증가했다.

국토부는 “임차료 부담이 높아진 저소득층 가구에 대한 주거급여 확대, 입법을 통한 전·월세 상한제 도입 검토 등 임차료 부담을 낮추기 위한 보완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