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과 극’ 상반기 청약 경쟁률···서울 3배 뛸 때 지방은 하락

2024.06.26 10:56 입력 2024.06.26 11:02 수정

서울 아파트 청약경쟁률이 지난해보다 3배 이상 치열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수도권 청약경쟁률은 오히려 떨어졌다. 서울과 지방간 부동산 시장 양극화가 뚜렷해지는 양상이다.

서울 도심의 아파트 단지 모습./문재원 기자

서울 도심의 아파트 단지 모습./문재원 기자

26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올해 상반기 일반분양 아파트의 청약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의 1순위 평균 경쟁률은 167.09대 1로 집계됐다. 642가구 공급에 10만7271명이 몰려 지난해 상반기(51.86대 1)나 하반기(58.31대 1)보다 경쟁률이 3배 이상 뛰었다.

당첨 시 수십억원의 시세 차익이 예상돼 ‘로또 청약’으로 불린 서울 서초구 ‘래미안 원베일리’ 조합원 취소분과 서울 서초구 잠원동 ‘메이플자이’의 분양이 경쟁률을 끌어올린 원인으로 지목된다.

지난 2월 분양한 메이플자이는 분양가 상한제로 주변 시세 대비 수억원 이상 저렴한 가격에 공급돼 경쟁률이 442.32대 1에 달했다. 지난달 진행된 래미안 원베일리 조합원 취소분은 3만5076명이 몰린 끝에 ‘만점 통장’ 보유자에게 돌아갔다. 올해 청약시장에서 만점 통장이 등장한 첫 사례였다.

서울의 아파트 분양 물량이 줄어든 것도 경쟁률 상승으로 이어졌다. 수요는 꾸준한데 공급이 줄어들면서 고분양가를 감수하고 청약에 나서는 이들이 늘어난 것이다. 서울의 일반분양 물량은 작년 상반기 1033가구, 작년 하반기 3800가구였으나 올해 상반기는 642가구에 불과했다.

이런 분위기 속에 광진구 ‘강변역 센트럴 아이파크’(494.11대 1), 서대문구 ‘경희궁 유보라’(124.37대 1), 강동구 ‘더샵 둔촌포레’(93.06대 1) 등 올해 상반기 서울에서 분양한 9개 단지 중 6개 단지가 두 자릿수 이상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반면 올해 상반기 비수도권 1순위 경쟁률은 6.39대 1로, 작년 상반기(7.53대 1)보다 낮아졌다. 서울과 지방의 청약 시장 온도차가 올해 들어 더욱 커진 셈이다. 전국 1순위 경쟁률도 작년 하반기 12.28대 1에서 올해 상반기 7.01대 1로 하락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