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옵션 따라잡기

증시의 변동성과 투자심리

2004.11.01 17:22

최근 주식시장이 국제유가 상승 등 외부 변수에 따라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고 있다. 주식을 가지고 있자니 불안하고, 팔자니 바닥인 것 같아 주저하게 된다. 주식 투자자로서는 참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시기인 것이다.

주식시장의 급등과 급락이 반복될 때 우리는 흔히 “시장의 변동성이 크다”고 말한다. 주식 투자자를 곤혹스럽게 하는 이 변동성이 사실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상당히 중요한 개념이다.

파생상품 시장은 변동성을 바탕으로 성장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변동성이 클 때 선물옵션의 거래량은 증가하고 또한 변동성이 큰 기초자산의 선물옵션이 그렇지 않은 상품에 비해 더욱 활발한 거래를 보이곤 한다.

변동성이 크다는 것은 가격의 등락이 심하다는 것이며, 이는 곧 위험(리스크)의 증가를 의미한다.

이와 함께 변동성과 주가는 반대로 움직인다는 대단히 의미있는 관계를 가지고 있다. 즉 주가가 하락할 때 변동성은 상승하며, 반대로 주가가 상승할 때 변동성은 떨어지는 것이다. 그 이유는 변동성이 공포(Fear) 또는 탐욕(Greed)이라는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를 대변해 주기 때문이다.

특히 탐욕보다는 공포를 더욱 잘 표현해 주기 때문에 주가와 변동성은 역의 관계를 가지게 되며, 변동성을 공포 측정치(Fear Gauge)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변동성이 클 때 주식 투자자는 불안하기 짝이 없다. 따라서 주식을 보유한 운용자는 선물옵션 시장을 이용하여 헤지에 나서게 되며, 투기거래자도 선물 매도, 풋옵션에 적극적이게 된다.

한편 과도한 선물 매도로 인해 선물 저평가, 즉 가격괴리가 발생하면 프로그램 매매마저 기승을 부리며 꼬리가 몸통을 흔드는 소위 ‘왝 더 도그’(Wag the Dog) 장세가 펼쳐지는 것이다.

고유가, 달러 약세, 중국 금리 인상 등 주식시장 주변이 시끄럽기만 하다. 게다가 외국인의 매수마저 기대하기 어려워 투자심리 회복은 당분간 힘들어 보인다.

변동성에 상당히 우호적인 주변환경이 마련되고 있으므로 변동성이 안정될 때까지 보수적인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지승훈 대한투자증권 책임연구원〉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