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준비, 대상포진·폐렴구균 예방접종으로 시작하세요

2023.07.07 20:09 입력 2023.07.07 20:12 수정
박정하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의술인술] 50대 준비, 대상포진·폐렴구균 예방접종으로 시작하세요

나이대별로 권장하는 예방접종은 조금씩 다르다. 나이에 따라 병에 걸리는 빈도, 중증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건강한 노후를 위해서는 50대부터 예방접종을 통해 감염병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50세 이상 성인에게 권장하는 대표적인 예방접종으로는 대상포진과 폐렴구균 예방접종이 있다.

대상포진은 감각 신경절에 잠복해 있던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면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과거 수두나 대상포진을 앓으면 발생할 수 있다. 신경절을 따라 신체의 한쪽으로 발생하는 발진, 수포, 심한 통증이 특징적이다. 나이가 많을수록 발병 빈도가 높아 만 50세 이상 성인에게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권장한다.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대상포진 발생률을 감소시키고, 걸리더라도 증상이나 대상포진 후유증인 신경통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1회 접종하는 생백신과 2개월 간격으로 총 2회 접종하는 사백신(유전자재조합)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생백신은 말 그대로 살아 있는 바이러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을 때, 예방접종을 하면 오히려 대상포진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대상포진에 걸린 경우라면 급성기 증상이 지나고 6개월에서 1년 후에 접종할 것을 권장한다.

폐렴은 세균·바이러스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폐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폐렴구균은 폐렴의 흔한 원인균으로, 호흡기 침방울(비말)을 통해 전염될 수 있다. 나이가 많거나 당뇨, 연하곤란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면역력이 떨어지면 폐렴 발생률이 증가한다.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폐렴 감염 시 특히 치명적일 수 있는 고령자에게 권장한다.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단백결합백신(10가·13가)과 다당백신(23가)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숫자는 다양한 폐렴구균 아형 중 몇 가지 아형에 대해 예방 효과가 있는지를 나타낸 것이다. 10가 단백결합백신은 성인에게 사용하지 않아 50세 이상 성인은 13가 단백결합백신과 23가 다당백신을 맞아야 한다. 23가 백신이 13가 백신보다 더 많은 폐렴구균의 아형을 막아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각자 폐렴 예방능력을 나타내는 방법이 다르므로 둘 중 더 좋은 것을 구분하기보다는 두 가지 백신을 모두 접종하는 것이 더 좋다.

13가 단백결합백신은 1회 접종만으로도 충분하다. 23가 다당백신은 5년 간격을 두고 면역력이 정상이라면 2회, 비장이 없거나 심각한 면역력 저하가 있는 경우 최대 3회 접종해야 한다. 이미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했지만 다른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하고자 한다면 일정 간격을 둔 후 접종해야 한다. 13가 단백결합백신을 먼저 접종했다면 8주 이상 지난 후 23가 다당백신을 접종하고, 23가 다당백신을 먼저 접종했다면 최소 1년 이상 지난 후 13가 단백결합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