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에 들뜬 PK “2030 엑스포 맞춰 개항해야”

2020.11.17 21:05 입력 2020.11.17 21:11 수정

부산시 “과학적·객관적 결정 환영”

가덕특별법 패스트트랙 추진 촉구

시민사회선 “갈등 경계” 목소리도

부산시가 가덕도에서 추진하려는 신공항 조감도.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가덕도에서 추진하려는 신공항 조감도. 부산시 제공

총리실 산하 김해신공항 검증위원회의 검증 결과에 대해 부산시는 “정부 정책 결정의 역사에서 하나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환영했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17일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결정”이라며 “잘못된 정책은 객관적인 절차를 거친다면 비록 결정된 정책이라도 바로잡을 수 있다는 모범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이어 “여야가 하나 된 협치의 과정이었고 시민주도형 정책 결정”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변 권한대행은 “방향은 가덕도신공항으로 정해졌다”며 “동남권 관문공항의 조속한 건설을 위해 특별법을 제정하고 패스트트랙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지역 시민사회단체와 경제계는 환영과 함께 가덕도신공항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강진수 가덕신공항유치국민행동본부 사무총장은 “김해공항 확장안이 백지화된 건 부산·울산·경남이 미래로 나아가는 새로운 계기가 될 것”이라며 “가덕도신공항을 위한 특별법을 만들어 2030년 부산 세계엑스포에 맞춰 개항될 수 있도록 부·울·경 시민이 힘을 합쳐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상공회의소는 “지역균형 뉴딜정책에 이어 이번 김해공항 확장안 부적격 판정까지 종합해보면 정부가 수도권과 비수도권 격차를 해소하고 지방 주도에 의한 국가균형발전을 이루고자 하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고 평가했다.

울산시는 “신공항은 남부권 전체 주민, 나아가 국가적으로 제대로 된 공항으로 건설돼야 한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다만 울산시민들이 신공항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급행철도 및 동해남부선을 활용한 신교통수단 마련, 도심 공항터미널 조성 등 교통대책도 함께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다시 지역 갈등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나왔다. 양미숙 부산참여연대 사무처장은 “가덕도신공항은 부산만을 위한 것이라는 오해와 갈등이 생길 수 있어 이를 경계해야 한다”며 “김경수 경남지사가 가덕도신공항을 대승적 차원에서 지지하기로 결정했듯이 부산시도 입지 문제를 해결하는 의제를 다른 시·도에 던져야 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