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뺑뺑이 그만, “환자 받으세요” 통보한다

2023.08.02 21:24 입력 2023.08.02 21:26 수정

대구 응급의료체계 대책 마련…선정된 병원은 ‘반드시 수용’
초응급·중증 등 지침 세분화·관리센터로 상황 판단 일원화
119 구급대 이송만 전념 가능해져…소아응급 대응 강화도

대구시가 긴급 응급처치가 필요한 중증환자의 경우 소방안전본부에서 병원을 선정·통보한 뒤 이송하고 응급의료기관은 해당 환자를 수용하도록 했다.

대구시는 이같이 환자 이송에서 진료까지 응급의료체계 전 과정을 개선한 ‘책임형 응급의료대책’을 시행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대책은 지난 3월 10대 응급환자가 치료받을 병원을 찾지 못해 숨진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 사고가 재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련됐다.

대책은 이송·병원·전문분야 대응·응급의료 기반 등 4개 영역별로 구성됐다. 핵심은 응급환자 이송·수용 지침을 세분화한 것이다. 대구시는 ‘초응급 중증환자’ ‘중증 응급환자’ ‘경증환자’ 등으로 구분해 대응하기로 했다.

의식을 잃었거나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는 경우, 분만이 임박한 산모 등 시간 여유가 없고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환자는 초응급 중증환자로 분류된다. 이들 사례는 대구소방안전본부 내 구급상황관리센터가 전담해 이송병원을 선정하고 구급대에 알린다.

지금까지는 응급환자 발생 시 119구급대가 응급의료기관에 전화해 환자 수용가능 여부를 살폈지만 이 절차를 단축한 것이다.

초응급 중증환자에 비해 시간적 여유가 있다고 현장 구급대원이 판단한 중증 응급환자의 경우 이송거리 등을 감안해 구급상황관리센터가 최대 2곳 응급의료기관에 수용 가능한지 문의한다.

만약 2곳 모두 환자 수용이 어려울 경우 대구지역 응급의료센터 6곳으로 환자 증상을 동시에 전송하는 ‘다중이송전원협진망’을 가동한다.

6개 센터에서도 환자를 받지 못한다면 구급상황관리센터가 치료이력·이송거리·병상상황 등에 따라 직권으로 이송병원을 선정 및 통보한다. 이때 선정된 병원은 반드시 환자를 수용해야 한다.

경증환자는 119구급대가 종합상황판을 확인하고 응급의료기관급 병원 13곳으로 별도 전화문의 없이 이송한다. 이번 조치로 119구급대는 환자의 안전한 이송에만 전념할 수 있게 됐다고 소방당국은 설명했다.

대구소방본부는 환자 이송기관 선정에 구급상황관리센터의 역할이 커진 만큼 기존 4개 팀 12명에서 21명으로 인력을 늘렸다.

대구시는 응급실 과밀화를 막기 위해 2026년까지 대구의료원을 지역응급의료기관에서 지역응급의료센터로 격상해 현재 6곳인 권역·지역 응급의료센터를 7곳으로 늘릴 방침이다.

현재까지는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 이후 증상이 경미한 경우 지역응급의료기관으로 보내기만 했지만, 앞으로 지역응급의료기관에서도 중증환자가 발생하면 상급병원으로 보낼 수 있도록 협력 네트워크를 마련해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 운영하기로 했다.

이 밖에 소아응급의료 대응을 위해 야간진료 전담기관을 확보하는 등 어린이 안심진료체계를 강화한다. 심뇌혈관 질환자 발생 시 응급실 도착과 동시에 전문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자체 애플리케이션(앱)을 개발해 활용한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역 의료기관과 소방 등이 힘을 합쳐 응급의료대책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