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여성들, 강·절도보다 성추행 더 두려워한다

2011.09.01 19:14 입력 2011.09.01 20:06 수정
경태영 기자

수도권에서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직장여성들은 강·절도보다 성추행을 더 두려워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 빈미영 연구위원은 지난달 수도권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직장여성 300명(유효응답 295명)을 대상으로 ‘대중교통 내 성추행 피해현황’을 면접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9%가 대중교통 이용시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범죄로 성추행을 꼽았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직장여성들이 절도(24.4%), 강도·폭행(6.6%)보다 성추행을 더 두려워한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빈 위원은 설명했다.

응답자의 55.3%는 평소 출퇴근할때 지하철과 버스 안의 치안이 매우 불안하거나 불안한 편이라고 답했다. 직장여성 4명 중 1명(24.8%)은 버스나 지하철에서 성추행을 당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피해장소는 지하철내가 67.1%로 가장 많았고 시내버스 15.1%, 버스정류장이나 지하철역 11%, 고속버스나 좌석버스 6.8% 순이었다. 또 평소 혼잡한 출근시간대인 오전 7~9시에 성추행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고 답했다.

반면 빈번한 성추행 발생에 비해 피해 여성들의 대처방법은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6.2%는 성추행을 당했을때 ‘버스를 갈아타거나 지하철 차량을 바꾼다’(53.6%)고 했고, 53.6%는 ‘성추행 대처에 자신없다’고 응답했다. 성추행 문제 해결방안으로는 ‘경찰에 신고하거나 인력배치 필요’(30%), ‘소리 지르기, 주변사람에게 도움요청’(27.8%)을 꼽았다.

빈 연구위원은 “지금까지 대중교통 정책이 노선확충이나 서비스 질 개선에 초점을 두었다면 앞으로는 여성 성추행같은 범죄를 예방하는 쪽으로 정책방향이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